'불법 드론'에 대한 탐지·식별·무력화(제어권 탈취)·사고조사(포렌식)를 통합한 '원스톱 시스템' 구축 후 첫 대응기술 시연회가 열렸다.
우주항공청과 경찰청은 18일 오전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민·관·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시설에 불법 드론이 침투한 상황을 가정한 대응기술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대전청사에서 지난 15일 열린 '유관기관 통합방호훈련'에서 허가받지 않은 드론이 청사에 침입한 상황을 연출했다. 기사 내용과 사진은 직접적 관련이 없다. 연합뉴스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시연회는 우주청과 경찰청이 주관하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기술 개발' 사업의 하나로, 원자력연이 2021년 4월부터 연구를 수행해 불법 드론에 대한 탐지·식별·무력화(제어권 탈취)·사고조사(포렌식)를 통합한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한 뒤 국가중요시설인 원자력시설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것이다.
시연 첫 단계는 불법 드론 탐지 및 무력화로, 지상 레이더와 RF 스캐너, 드론캅 등을 연계해 불법 드론 침입을 즉시 탐지하고 불법 드론에 대한 제어권을 탈취해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초기대응이다.
다음은 라이브 포렌식인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메모리 등에 남아있는 휘발성 증거를 확보·분석하는 디지털 증거수집 기법이다. 드론에 대한 제어권을 탈취한 순간부터 조종 신호, 조종자 위치, 촬영 영상 등 증거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사후 포렌식을 통해 착륙시킨 드론 기체와 조종자로부터 획득한 조종기, 스마트폰 등을 분석한다. 침입의 고의성, 비허가 촬영 사진 등 증거자료를 확보한다.
시연 후 언자력연구원은 개선사항에 대한 참석자들의 의견을 반영, 10월 말 강원 양양 공항에서 2차 국가중요시설 대상 불법 드론 대응 시연회를 갖고, 11월 불법 드론 지능형 대응기술개발 사업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드론 기술의 급속한 발전만큼이나 관련 범죄에 대비한 포렌식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고, 김현대 우주항공청 항공혁신부문장은 "이번 기술 성과가 우리나라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안전을 지키는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