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바이오클러스터가 글로벌 수준으로 성장하려면 인재와 자본 확보,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클러스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글로벌 협력'이란 주제로 1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세계 바이오 서밋 패널토론'에서 최윤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왼쪽 첫번쨰)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최태원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세계 각국의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17일 '2025 세계 바이오 서밋'에서 '바이오클러스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글로벌 협력'이란 주제로 열린 패널토론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바이오클러스터의 3대 핵심 성공 전략은 ▲국경 없는 인재 유치 ▲성장을 뒷받침하는 자본 ▲규제 혁신 등이다. 스티븐 조 전 노바티스 수석부사장은 "서구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연구진을 유치해 생태계에 통합시킨 것"이라며 "한국과 일본의 바이오클러스터에 가면 외국인 연구자들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폐쇄적인 인재 구조가 성장의 한계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스위스 바젤의 성공 비결 역시 인재 유치에 있었다. 폴 애슈만 바젤 투자청 국제시장·비즈니스 업무 책임자는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높은 삶의 질 ▲높은 임금 수준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영어를 사용하는 개방적이고 다문화적인 환경 등을 바젤 바이오클러스터 성공의 핵심 요소로 꼽았다. 우수한 인재들이 스스로 찾아와 머물고 싶게 만드는 '매력적인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국내에선 의과대학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한남식 캠브리지대학교 밀너의약연구소 AI연구센터장은 "모든 똑똑한 학생들이 다 의사가 될 필요는 없다"며 "과학 분야를 매력적인 진로로 만드는 사회적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자본 유치 역시 바이오클러스터 성공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서구 클러스터들은 내수 시장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세계를 무대로 자금을 조달하는 반면, 한국은 아직 글로벌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진단이다. 조 전 노바티스 수석부사장은 "서구 클러스터들과 달리 한국은 아직 글로벌 자본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이에 단순한 연구·개발 지원을 넘어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조 단위의 '메가 펀드'를 조성하고 해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주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경영실장은 "메가펀드 없이 바이오클러스터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지속가능한 펀딩을 위해 공공과 민간의 협력과 글로벌 인프라 유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규제 개혁 역시 바이오클러스터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차병열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의생명센터장은 "미국 케임브리지 바이오클러스터 성공의 기폭제가 된 사건은 1977년 케임브리지 시의회가 관련 규제를 완화한 것"이라며 "연구의 장벽을 규제 당국이 직접 열어주며 새로운 연구 영역들이 활성화됐다"고 평가했다.
반면 한국은 신기술이 나와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여러 기관의 복잡한 허가 과정을 거쳐야 해 속도가 더딘 편이다. 차 센터장은 "한국 같은 경우엔 인허가는 식약처, 신기술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시장 진출은 심평원 심사를 받아야 한다"며 "이런 절차들을 줄여주면 기업의 성장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