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성대야구장·위례업무용지, 2027년 착공"

9·7 부동산대책 추가설명

정부가 9·7 부동산 대책에서 서울 내 공급계획으로 제시했던 성대야구장(도봉구)와 위례업무용지(송파구)에 대해 2027년 착공이 가능하다는 구상을 내놨다. 과거에도 주택 공급 후보지로 거론됐으나 개발과정에서 크고 작은 문제가 불거지거나 지자체와 이견으로 지지부진했던 곳이다.


국토교통부는 16일 내놓은 '주택공급 확대방안 추가설명 QA' 자료에서 해당 부지에 대해 "신속히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지자체·관계기관 등과 의견조율을 통해 상당 부분 협의를 진행했다"며 "부지별 특성, 위치 등을 고려해 분양주택을 포함해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당초 2030년까지 공급계획을 밝히면서 거론한 부지인데 이번에 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해당 부지에 공공주택을 지으면서 분양과 임대주택 물량을 각기 어떤 식으로 할지에 대해선 지자체 등과 의견을 수렴해 결정키로 했다. 지역주민 반대가 불거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도서관 같은 문화여가시설, 주민편익시설을 같이 넣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두 부지와 함께 서울 내 유휴 부지로 거론된 한국교육개발원(서초구)이나 강서구 공공청사는 내후년인 2028년 착공하는 쪽으로 목표를 잡았다.


서울 도봉구 성대 야구장 부지. 연합뉴스

서울 도봉구 성대 야구장 부지.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성대야구장이 1800가구, 위례업무용지가 1000가구 규모로 주택을 짓는 걸 계획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700가구, 강서구 청사는 558가구 규모다. 각각 부지를 보유한 성균관대나 국방부, 강서구청과 협의, 용지를 매입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시행을 맡는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수용방식이다.


국토부가 이날 배포한 자료는 지난 7일 대책 발표 후 나온 부정적인 지적에 대한 해명 성격이 짙다. LH가 직접 시행에 나선다고 하나 미분양 우려 등으로 팔리지 않은 택지를 대상으로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지난달 말 기준 LH 보유 미매각 주택용지는 53개 필지, 2만2000가구 규모"라며 "수도권에 예정된 5만3000가구 가운데 미매각·해약 등으로 LH가 보유 중인 토지는 전체 물량의 5% 수준"이라고 밝혔다.

LH가 도급형 민간참여사업으로 진행하면서 공사비를 낮게 해 주택 품질이 낮아질 것이란 우려에 대해선 "민간이 자사 브랜드를 걸고 품질관리를 하므로 민간 분양주택 못지않은 품질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봤다. 대형 건설사 참여가 낮을 것이란 우려에 대해서도 최근 2년간 선정된 건설사 17곳 가운데 11곳이 시공능력평가 30위권 이내 대형 업체였다는 점을 내세웠다. 건설사 참여를 끌어낼 유인책도 내놓기로 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