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오염 흙' 도쿄 도심 화단에 넣었다

환경성 건물 등에 순차적 공사 시작
총리 관 앞마당에 이어 두 번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발생한 제염토(방사능 물질에 오염된 흙)가 도쿄 도심 한복판 정부 청사 화단으로 옮겨졌다. 주민들의 거부감을 극복하고 제염토 재활용 논의를 다시 촉진하려는 시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14일 도쿄 도심 경제산업성 청사 화단에 제염토가 투입되고 있는 모습. 교도 연합뉴스

14일 도쿄 도심 경제산업성 청사 화단에 제염토가 투입되고 있는 모습. 교도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14일 교도통신·NHK 등에 따르면 일본 환경성·경제산업성·부흥청이 자리한 도쿄 가스미가세키 청사 화단에 후쿠시마 제1원전 제염 작업에서 나온 흙 45㎥를 투입하는 공사가 진행됐다. 해당 관청은 도쿄 도심에 위치해 평소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작업은 깊이 55㎝에 제염토를 묻고, 위쪽에 일반 토양을 20㎝ 두께로 덮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는 지난 7월 도쿄 지요다구 총리 관저 앞마당에 이어 후쿠시마현 이외 지역에서 제염토를 사용한 두 번째 사례다. 당시 총리 관저에는 2㎥의 제염토를 가로·세로 각각 2m 구간에 깔고 그 위를 일반 흙과 잔디로 덮었다.


제염토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 후 주변 주택, 농지 등을 대상으로 오염 제거 작업을 하면서 걷어낸 흙이다. 일본 정부는 2045년 3월까지 이 제염토를 후쿠시마 밖에서 최종 처분한다는 원칙을 법률로 제정하고 있다.


현재 저장시설에 보관된 제염토 양은 1410만m³가량으로, 도쿄돔 11개를 채울 수 있는 분량이다. 일본 정부는 최종 처분량을 줄이기 위해 방사성 수치가 낮은 토양을 전국의 도로와 철도 건설, 공공시설 등에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일본 정부가 공공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제시한 제염토의 방사능 세슘 농도 기준은 1㎏당 8000베크렐 이하다. 이번에 투입된 토양의 방사성 세슘 농도는 약 4000베크렐로 기준치의 절반 수준이다.


그동안 시민들의 거부감 때문에 제염토 활용이 진척되지 못하자, 일본 정부는 관저와 관청부터 제염토를 활용하면서 이해를 확산하려는 전략을 내세운 것으로 해석된다. 환경성 담당자는 "공사 전후 측정된 방사선량은 거의 같다"며 측정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과 주민 불안은 여전하다. 지금까지 일본 정부가 도쿄를 비롯한 후쿠시마현 밖 지역에서 제염토를 활용하려던 사업은 현지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막혀 번번이 무산됐다. 전문가들은 이번 작업에 대해 제염토의 전국적 활용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려는 의도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