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사망 4주기를 맞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를 '자택 봉안'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전 전 대통령 측은 유해를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 봉안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유해는 유골함에 담겨 약 4년째 자택에 임시 안치된 상태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2·12 군사 반란' '5·18 광주민주화운동' 등과 관련한 내란죄 등으로 실형을 선고받은 터라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이에 이순자 여사 등 전 전 대통령 유족들은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는 전 전 대통령의 회고록에 따라 휴전선 인근인 파주시 문산읍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지만 지역 내 반발이 거세 실행하지 못했다.
이후 전씨 측은 현재까지 장지를 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두환 전 대통령 장례 이틀째인 24일 오전 부인 이순자 씨가 고인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들어서고 있다. 2021.11.24 [공동취재]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전씨 사망 후 4년이 다 되어가는 현재까지 장지를 구하지 못하자 전씨 측은 연희동 자택의 마당을 전씨 유해 봉안지로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2021년 연희동 자택을 전씨의 차명재산으로 보고 환수 소송을 냈다. 그러나 지난 2월 서울서부지법은 "전씨 사망으로 추징금 채권이 소멸됐다"며 각하했다. 정부가 항소해 오는 11월20일 서울고법에서 환수 소송 2심이 열린다. 현재 전씨의 추징금 2200억원 중 860억원가량이 환수되지 못한 상태다.
연희동 자택에는 전씨의 부인 이순자씨가 머물고 있다. 임기를 채운 전직 대통령과 가족들은 대통령경호처 경호를 10년 동안 받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 5년 연장할 수 있다. 이후 경찰로 경호업무가 이관된다. 연희동 자택에는 경찰의 전담 경호대 인력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다.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담 경호대에 투입된 예산은 2245만원이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