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전문가 "사죄 없는 사도광산 추도식은 모욕" 비판

"세계유산은 전체 역사 보여줘야"

일본 전문가가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이 언급되지 않은 데에 대해 비판했다.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참가자가 헌화할 꽃을 받고 있다. 한국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추도식에 불참해 2년 연속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연합뉴스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13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참가자가 헌화할 꽃을 받고 있다. 한국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추도식에 불참해 2년 연속 '반쪽' 행사로 치러졌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13일 교도통신은 한일관계를 연구하는 요시자와 후미토시 니가타국제정보대 교수가 "작년과 동일한 (일본 정부) 발언은 피해자를 모욕하는 것이 된다"며 "감사가 아니라 사죄라는 말이 필요하다"라고 이야기한 점을 보도했다.

요시자와 교수는 "추도식에는 조선인 강제노동 문제를 생각하고 계승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 추도식은 의미가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세계유산이라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한일이) 대화로 착지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치 연구자인 아사바 유키 도시샤대 교수도 "세계유산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포함해 전체 역사를 전하는 것으로, 원하는 것만 잘라 내서는 안 된다"며 "전체를 보여주지 않으면 역사 수정주의로 인식될 수 있다"라고 비판했다.


아라이 마리 사도시 의원도 "반성과 사죄가 필요하다"며 "혹독한 환경에 있었던 노동자 아픔에 공감하는 추도식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도통신은 "한국은 한반도 출신 노동자에 대한 강제성을 명확히 할 것을 주장하지만, 일본 정부는 전시(戰時) 징용은 '국제조약에 반하는 강제노동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일본과 한국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린다"며 "각각 추도식을 실시하는 것도 어쩔 수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일본 정부 대표로 추도식에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했다고 언급하며 "돌아가신 모든 분에 대해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한다"라고만 말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처음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이 했던 인사말과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이다.


한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과 관련한 언급이 충분하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 2년 연속 불참을 결정했다. 이에 이번에도 추도식은 일본만의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했다. 추후 한국은 별도의 추도식을 치를 예정이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