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년 개최될 제9차 당대회에서 "핵무력과 재래식 무기의 병진정책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13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지난 11과 12일 국방과학원 장갑방어무기연구소와 전자무기연구소를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12일에는 평양지구 훈련 기지를 찾아 저격수 부대들의 사격경기를 참관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장갑방어무기연구소와 땅크(탱크)설계국의 합동 연구로 완성된 중요 핵심기술 개발 경과를 청취했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특수복합장갑 개발 실태와 최종 도입 전 시험 공정에 있는 지능형 능동방호 종합체의 반응 시험, 효과적인 상부 공격 방어 구조물의 설계 방안을 비롯한 장갑방어 부문의 연구 실태를 파악했다"고 밝혔다.
또 김 위원장은 "앞으로 당 제9차 대회는 국방건설 분야에서 핵 무력과 상용무력 병진정책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며 "국방과학원이 당의 강군건설 노선을 높이 받들고 상용무력을 현대화하기 위한 사업에서 계속 기치를 들고 나갈 데 대한 믿음"을 표기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김 위원장은 "지향성 적외선 및 전파교란 장비와 능동 방호 종합체, 피동 방호 수단들이 성과적으로 개발 도입됨으로써 우리 장갑무력의 전투력은 비상히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시찰에선 신형 능동 방호 체계의 종합가동시험도 진행됐다. 이는 각종 반탱크 미사일 실탄사격에 의한 정면 및 측면, 상부 공격에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통신은 "시험을 통해 탐지체계와 회전식 요격탄 발사기들의 반응성이 대단히 높다"며 "새로 개발된 능동방호 체계가 매우 우월하다는 것이 실천적으로 검증됐다"고 했다.
김 위원장이 지난 5월 '중요 탱크 공장' 시찰에 이어 넉 달 만에 신형 탱크 개발 현장을 찾았다. 당시 김 위원장은 "최신 탱크와 장갑차로 교체하는 것은 무력 건설과 육군 현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