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의료관광객은 2020년 11.7만명→2021년 14.6만명→2022년 24.8만명→2023년 60.6만명→2024년 117만명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작년 기준 피부과 56.6%, 성형외과 11.4%로 합쳐서 약 68%를 차지했다. 의료 관광객은 단순 여행객과 비교해 체류 기간이 길고, 머무는 동안 쇼핑과 관광을 병행하기 때문에 씀씀이가 큰 편이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1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외국인 성형 관광객은 2주에서 한 달씩 장기 체류한다"며"K-컬쳐 중 영화나 드라마에만 관심이 집중돼 있는데, 음식과 성형 같은 산업이 오히려 훨씬 고부가가치가 아닌가"라는 발언을 했다. 의료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 차원을 넘어 국가적 산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시그널로 해석된다.
업계에서는 부가가치세 환급제도가 유지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다. 2016년에 도입된 외국인 미용·성형 진료 부가가치세 환급 특례제도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미용·성형 시술을 받으면 부가가치세 10%를 환급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일본·태국·중국 등 경쟁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 의료비가 저렴하지 않다는 점에서 환급 제도가 기여를 했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하지만 기획재정부가 올해 말 제도 종료 방침을 발표해 논란이 일었다. 업계에서는 대통령 발언으로 부가세 환급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의료관광 수혜주 다양하게 포진
김한진 라이트우드파트너스 애널리스트는 "직접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는 기업들은 의료기기, 성형·피부 시술 관련 제품, 병원서비스업체, 화장품·뷰티 디바이스 기업 등 다양하다"며 "국적별 환자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및 서비스 전략이 중요하며, 의료 관광 확대는 관련 상장기업들의 실적 개선으로 직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