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금어기가 해제된 이후 꽃게 위판량이 최근 10년 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금어기(6월21일~8월20일)가 해제된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9일까지 전국의 꽃게 위판량은 3690t으로 최근 10년 같은 기간에서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고수온으로 인해 꽃게 어획량이 급감한 작년보다 67.2% 늘어난 것이다. 꽃게 위판량은 꽃게 어획량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6년(1673t)부터 매년 꾸준히 늘어 2023년 3484t을 기록했으나 작년엔 2207t으로 급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가을 꽃게가 풍년인 이유에 대해 "서해 저층의 차가운 물웅덩이가 작년보다 연안과 남쪽으로 확장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바닥에 서식하며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꽃게가 바닥으로 밀려온 차가운 물을 피해 어장이 있는 연안으로 올라오면서 어획량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어획량이 늘어나면서 위판가격도 안정세를 보인다. 지난달 21일부터 지난 9일까지 평균 위판 가격은 1㎏당 6430원으로 10년 평균 위판 가격(7816원)보다 17.7% 낮다.
가을 전어 가격도 작년보다 크게 내려갔다.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에 따르면 대표적인 전어 산지인 서천에서 전어 평균 낙찰가는 이달 기준 1㎏당 1만43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 평균 낙찰가(3만1850원)보다 55.0% 하락했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의 경매가격을 보면 전어 상등급의 이달 평균 경매가격은 1㎏당 5385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2% 저렴하다. 지난 7월부터 지난 8일까지 잡힌 전어는 407t으로, 작년 같은 기간 어획량(209t)의 두 배에 가깝다.
수협중앙회는 "올해 수온이 작년처럼 크게 오르지 않아 어황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전어는 염도가 낮은 바닷물을 좋아하는데, 올해엔 비가 많이 내려 전어가 몰리면서 어획량도 늘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