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사가 기본급 11만원 인상 등을 담은 2025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6일 포스코와 대표교섭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은 전날 포항 본사에서 교섭을 진행한 끝에 합의안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합의안에는 기본급 11만원 인상, 철강경쟁력 강화 공헌금 250만원, WSD 15년 연속 세계 최고 철강사 선정 축하 우리사주 취득 지원금 400만원, 지역사랑 상품권 50만원 지급이 포함됐다. 또 성과 연계형 생산성 인센티브(PI) 제도를 신설하고, 입사 시기에 따라 달리 운영돼온 임금체계를 일원화하며, 작업중지권 사용을 확대하는 내용도 담겼다.
노사는 지난 5월부터 10여 차례 교섭을 이어오며 단체협약에서는 의견 접근을 이뤘지만, 임금 요구안을 두고는 팽팽히 맞섰다. 예년보다 많은 안건을 다뤘음에도 조기에 잠정 합의에 이른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정부와 국회가 'K스틸법' 발의 등 철강산업 지원에 나선 가운데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다는 노사 공감대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포스코 노조는 지난달 29일 김성호 위원장 이름으로 담화문을 내고 "더 이상 '상생과 투쟁의 갈림길'에 머물 수 없다"며 회사의 결단을 촉구한 바 있다. 당시 김 위원장은 "5일까지 조합원이 납득할 만한 제시안이 나오지 않으면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하지만 회사가 이날 잠정 합의안을 내놓으면서 파국은 피하게 됐다.
포스코는 1968년 창사 이후 파업이 없었던 무분규 사업장이다. 다만 지난해와 재작년 임단협에서는 교섭이 결렬돼 노조가 쟁의권을 확보하는 등 파업 직전까지 갔으나 중앙노동위원회 조정과 추가 교섭을 통해 타결된 바 있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안전한 현장 구현을 최우선으로 삼고, 철강산업 경쟁력 회복과 직원 권익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잠정 합의안은 내주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조합원 과반이 찬성하면 임단협은 타결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