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실에 있다면 당장 꺼내라"…얼리면 안되는 식품 따로 있다

"일부 식품은 맛·안전성 등에 취약" 경고

1인 가구와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냉동고는 이제 '생활 필수템'이 됐다. 남은 음식이나 식재료를 넣어두면 오래 보관할 수 있고, 필요할 때 꺼내 먹기에도 편리하다. 하지만 모든 음식이 냉동실에서 무사히 살아남는 것은 아니다. 차갑게 얼렸다가 해동하는 순간, 맛과 식감은 물론 안전성까지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맛과 식감, 안정성까지 '뚝'…얼리지 말아야 할 식품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ChatGPT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ChatGPT

원본보기 아이콘

영국 소비자 전문 매체 'Which?'는 최근 "대부분의 식품은 냉동 보관이 가능하지만, 일부는 냉동 과정에서 품질이 크게 저하된다"고 경고했다. 특히 튀김류, 삶은 달걀, 수분이 많은 채소, 요거트, 부드러운 치즈, 생크림 등을 대표적인 '냉동 금지 식품'으로 꼽았다. 조직 파괴와 수분 손실로 인해 본래의 맛과 질감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튀김·달걀·채소…냉동 후 '맛 변질' 뚜렷

가정에서 조리한 튀김은 냉동 후 해동하면 기름과 수분이 분리돼 바삭함이 완전히 사라진다. 이는 시판 냉동 제품처럼 특수 코팅 처리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삶은 달걀 역시 냉동 시 단백질이 변성돼 흰자가 고무질처럼 변하는 문제가 생긴다. 전문가들은 "달걀은 껍질째 보관하지 말고, 요리에 활용할 만큼만 신선하게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오이·상추처럼 수분 함량이 90%에 달하는 채소는 냉동 과정에서 세포벽이 파괴돼 해동 후 질감이 흐물거리게 된다. 다만 샐러드 등에는 부적합하지만, 볶음이나 수프 등 가열 조리용으로는 활용 가능하다.

요거트·생크림·부드러운 치즈도 취약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유제품은 냉동에 특히 약하다. 요거트와 생크림은 해동 후 유지방과 수분이 분리돼 덩어리가 생기고 크리미한 질감이 사라진다. 그대로 먹기에는 맛이 떨어지지만, 요리 재료로는 쓸 수 있다. 브리·크림치즈 같은 부드러운 치즈도 냉동 시 수분이 빠져 푸석한 식감으로 변한다. 반대로 체다·파르미지아노 같은 단단한 치즈는 비교적 안전하게 냉동 보관이 가능하다.

안전하게 냉동·해동하려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ChatGPT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ChatGPT

원본보기 아이콘

전문가들은 "유통기한 내 냉동 보관을 원칙으로 하되, 해동 시에는 냉장고에서 서서히 녹이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제품 라벨의 냉동 보관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빵, 고기, 단단한 치즈, 우유, 버섯, 밥 등은 비교적 안전하게 냉동 보관이 가능하다. 다만 기한이 지나기 전에 냉동해야 하며, 유통기한 이후에 냉동하면 식중독 위험이 커진다. 전문가들은 우유나 닭고기처럼 고위험 식품의 경우 냉장고에서 천천히 해동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