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새 아트파트너십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첫 번째 전시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엮음과 짜임'이 4일부터 11월 2일까지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특별전으로 개최된다고 3일 밝혔다.
유정혜 '금빛 베일_금빛으로 살짝 덮인 신비로운 장막'(2025)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 전시 전경. 사진: 김우일,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는 청주공예비엔날레와 영국 휘트워스 미술관이 공동 기획하고 인도 국립공예박물관이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다.
한국의 공예 문화, 인도의 장인 문화, 영국의 산업 혁명 및 세 도시 청주, 뉴델리, 맨체스터의 역사적 교류를 바탕으로 지역과 대륙을 넘나드는 교역의 중심이었던 섬유를 단순한 거래 대상이 아닌 서로 다른 문명을 이어주는 역사적 교류의 유산으로 살펴볼 기회를 제공한다.
전시 작품으로는 '섬유 공예와 커뮤니티'를 주제 삼아 한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8팀의 신작을 포함해 한국 전통 섬유 작품, 휘트워스 미술관이 소장한 인도 전통 섬유 작품 등 총 30여점을 선보인다.
카이무라이 '내 모든 기도에 대한 답은 내가 결코 묻지 않았던 질문 속에 있다'(2025),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엮음과 짜임》 전시 전경. 사진: 김우일,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전시에 참여한 보이토, 장연순, 홍영인, 카이무라이, 고소미, 페로, 수막쉬 싱, 유정혜 등 8팀 작가들은 지난 2월과 4월 인도와 한국에서 진행된 리서치 트립을 통해 다양한 지역의 섬유 기법과 재료, 장인 문화를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신작을 제작했다.
휘트워스 미술관은 남아시아 지역 직물 전통의 기술적 정교함과 다층적인 역사를 보여주는 인도의 텍스타일 소장품을 소개하고 섬유 공예를 어떻게 기억과 지식, 정체성 등의 매개로써 살펴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현대차 관계자는 "시대와 지역을 잇는 섬유 예술의 서사를 새롭게 조명하며 예술의 다층적 의미를 살펴볼 기회를 제공한다"며 "국내외 예술 기관 간 초지역적 협업을 지원함으로써 예술을 통해 동시대적 연결성에 대한 폭넓은 소통과 이해를 이어가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