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3일 국내 반도체 강소기업을 찾아 "역량있는 제조업이 성장하고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 부처는 제조업 혁신을 이루겠다며 지원방안을 보고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안산의 새솔다이아몬드공업에서 'K-제조업 기업현장 간담회'를 열고 "대한민국의 가장 큰 과제는 회복과 성장이라고 압축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 "많은 것들이 비정상화돼 있는데 정상으로 회복하는 과정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이 대통령이 정상외교를 끝낸 후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민생경제를 회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힌 뒤 마련된 기업 현장 방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새솔다이아몬드공업은 반도체 주재료인 웨이퍼를 평탄화하는 부품생산기업으로 세계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국민 일자리라는 측면에서 제조업이 정말 중요하다"면서 "우리 정부로서도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고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기업 관련 부처의 정책 보고도 이어졌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제조업은 국가 안보를 위한 전략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도 "현재 우리 제조업은 성장 부진이 식어가고 있는 위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사장님도 중국 걱정을 하셨는데 경쟁국 기술 추격, 생산인구 감소, 투자 부진 등 성장 능력이 약화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혁신 역량을 강화해야 하겠다"면서 "첨단 산업 초격차, 탄소 중립, 공급 과잉에 대한 돌파형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인공지능(AI)을 연구개발(R&D)에 접목해 기술개발의 비용을 줄이고 속도와 성과를 높이겠다"고 했다. 또 시장역량 강화를 위한 금융수출보험 지원, 기술장벽 대응, 앵커기업 및 중소기업 제조혁신 허브 확대, 수요-공급기업 간 전주기 협력을 약속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제조업 내 강소기업 육성을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공개했다. 한 장관은 "중소 제조기업이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과 AI 전환이 필수"라면서 "중소기업의 일반적인 현장은 디지털 전환뿐 아니라 AI 전환까지 가기 좀 멀어 보인다"고 운을 띄웠다. 전환 수준에 따라 스마트 공장 지원,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스마트제조산업 육성법 제정, AI 지원 플랫폼 구축 등을 뒷받침하겠다는 게 한 장관 구상이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하준경 대통령실 경제성장수석,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맹주호 새솔다이아몬드공업 대표 등 제조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