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차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2일 인공기를 단 차량 행렬이 베이징 시내를 지나고 있다. 7·271953 번호판이 눈길을 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2일 오후 베이징에 도착했다. 이날 오후 4시, 전용 열차 '태양호'를 타고 베이징역에 도착한 김 위원장은 곧장 차량 행렬에 올랐다. 그가 탄 벤츠 마이바흐가 시내 젠궈먼 사거리를 지나 북한 대사관으로 향하는 순간, 해당 차량 앞에 달린 '7·271953' 번호판이 이목이 끌었다.
열차에 싣고 온 김 위원장 차량에는 '7·271953' 번호판이 달려있다. 이는 1953년 7월27일, 한국전쟁 정전 협정 체결일을 의미한다. 북한은 이날을 단순한 휴전일이 아닌 '전승절(7·27)', 곧 미국과 맞서 이겨낸 승리의 날로 규정한다. 북한 내부에서 '칠이칠'은 '승리'와 동의어로 사용될 정도다. 북한의 대표 군가인 '7·27 행진곡' 역시 "승리, 승리, 승리의 7·27"을 반복하며 이날을 김씨 일가 정통성과 권력세습 정당성의 핵심으로 자리매김시킨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에서 이 번호판을 내세운 것은 대미(對美)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는 정치적 선언이자, 6·25 전쟁을 '항미원조 전쟁'으로 규정해온 중국과의 반미 혈맹 이미지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현지시간 오후 4시 중국 수도 베이징에 도착했다. 통신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붉은 원), 조용원·김덕훈 당 비서, 최선희 외무상 등이 동행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이번 방중에서 또 하나 눈길을 끈 대목은 김 위원장이 딸 김주애를 대동했다는 점이다. 중국 신화통신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 속에서 김 위원장 뒤에는 김주애가 나란히 서 있었고, 그 뒤로는 최선희 외무상이 자리했다. 부인 리설주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국가정보원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에 딸 김주애를 동반한 것으로 파악했다"며 "김주애의 활동을 주시하고 있다"고 입장을 냈다. 김 위원장이 김주애를 해외 일정에 데리고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사실상 후계 구도와 관련된 정치적 신호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2019년 1월 이후 약 6년8개월 만이다. 김 위원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행사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과 함께 참석할 예정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