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방 경제 활성화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바가지 요금'을 지목하고 법률과 제도로 단속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또 관리감독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을 받아 온 새마을금고 관리 감독 문제에 각별히 신경을 써달라는 주문도 했다.
2일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부산의 바가지 이야기가 있다. 지방 관광을 활성화해야 하는 데 제일 큰 장애 요인이 자영업자들로 인해 사고가 가끔 난다. 바가지 씌우는 것을 단속할 방법이 없냐"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근 부산 갈치 시장에서 해삼 한 접시에 7만원을 냈다는 사례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강원도도 그래서 타격이 엄청난 모양이더라"라면서 "사소한 것에 이익을 얻으려다 치명적으로 타격을 받는다"고 말했다.
이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법률적으로 가능한지 검토를 해봐야 한다"면서 "상권이나 상인연합회에서 자율규제하는 것을 유도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자율적 사항이라고 방치하기에는 공공에 대한 피해가 너무 크다. 연구해봐야 할 문제"라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광 산업의 (역할 비중이) 상당히 큰 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각별히 관심을 갖고 연구해 달라"고 했다.
새마을금고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하게 해서 실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도록 해달라는 당부도 했다. 이 대통령은 "새마을금고가 사실 관리 감독 사각지대 같던데"라면서 "금융위로 (관리감독 책임을) 넘겨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던데, 행안부가 관리하다 보니 지자체에 위임돼 있지 않으냐"고 꼬집었다. 이 대통령은 "관리 감독을 하는 것을 포함해 실제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게 운영해야 하는 데 말로만 그러면 안 될 것 같다"라고도 말했다.
이에 윤호중 장관은 "재작년부터 부실 대출이 발생하면서 금융에 대한 지도를 금융위와 행안부가 공동으로 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대통령은 "이 문제를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새마을금고는 2023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대규모 뱅크런이 발생하는 등 부침을 겪었다. 지난해에는 금고 설립 이후 최대 규모인 1조7000억원이 넘는 순손실을 기록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