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는 씨 말랐다더니 '오징어 풍년'은 여기서…'잭팟' 터진 서해안 벨트

군산 위판량 1400t 돌파
태안은 작년 대비 8.5배↑

기후변화로 오징어 주요 어장이 바뀌고 있다. 한때 대표 산지였던 울릉도의 어획량이 줄어든 반면 서해안 군산과 태안 앞바다에서는 잇따라 오징어가 '풍년'을 이루고 있다.

수조에 가득찬 오징어의 모습. 기사와는 무관. 연합뉴스

수조에 가득찬 오징어의 모습. 기사와는 무관.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28일 군산시에 따르면 올 1월부터 금어기를 제외한 이달 25일까지 누적 오징어 위판량은 1402t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실적(521t)을 이미 세 배 가까이 웃도는 규모다. 특히 7월에만 467t이 위판됐고 이달 들어서는 불과 25일 만에 901t이 거래됐다. 올 초 1~3월 위판량이 34t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발적으로 증가한 셈이다.


난류성 어종인 오징어는 그간 동해안 위주로 잡혔지만 최근에는 서해 수온이 산란·서식에 유리하게 변하고 멸치·새우류 등 먹잇감이 풍부해지면서 군산 어획량이 급증한 것으로 시는 설명했다.

강원 강릉시 주문진항 어판장에서 어민들이 채낚기 어선이 잡아 온 오징어를 선별해 상자에 담고 있다. 연합뉴스

강원 강릉시 주문진항 어판장에서 어민들이 채낚기 어선이 잡아 온 오징어를 선별해 상자에 담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물량이 늘면서 지역 상권도 활기를 띠고 있다. 비응항 상가의 횟집과 음식점 수족관이 싱싱한 오징어로 채워지자 저렴하게 회를 맛보려는 시민·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가격도 안정세를 보인다. 지난해 20마리 한 상자 기준 7~8만원이던 경매가는 최근 5~6만원으로 내려왔으며 소비자 가격 역시 마리당 2000~3000원 떨어졌다.

앞서 충남 태안도 오징어 '풍년'

비슷한 변화는 앞서 충남 태안에서도 나타났다. 태안군과 서산수협에 따르면 지난 7월 근흥면 신진항에서 위판된 오징어는 선어 861t과 활어 69t 등 총 930t으로 지난해 같은 달(108.9t)의 8.5배에 달했다. 위판가는 약 118억원으로 집계됐다.


위판량이 늘자 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아졌다. 지난해 20~25마리 1상자가 7~8만원이었으나 올해는 5만5000~6만500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신진항과 수도권 수산시장에서 태안 오징어를 찾는 소비자도 크게 늘었다.


수협 관계자는 "올해는 해수 온도가 다소 낮아지면서 어군이 연안에 가까이 형성돼 조업 효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오징어 어획량이 급증하자 지자체도 반기고 있다. 박동래 군산시 수산산업과장은 "여름철 본격적으로 잡히는 군산 오징어가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고 태안군 관계자 역시 "태안산 오징어가 매년 여름 지역경제의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