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꿈꿨고, 여기까지 왔어. 이제 믿어. 영원히 깨질 수 없는. 우리는 황금처럼 빛날 존재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OST '골든'(Golden)의 가사처럼, 케데헌 속 한국 문화가 전 세계에서 황금빛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김밥, 사우나, 한복, 한옥 등 작품 속 한국 일상이 세계인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운데, 이번에는 'K-찜질방'이 외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케데헌의 흥행이 단순한 시청 열풍을 넘어, 실제 관광과 소비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7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한국 찜질방 체험기를 상세히 보도했다. 직접 한국 찜질방을 경험해 본 기자는 "1만7000원(약 12달러)으로 입장 가능한 고급 찜질방에서 사우나, 한증막, 소금방, 냉탕·온탕, 레스토랑까지 즐길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가족 ·연인·친구가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용 공간을 찜질방의 최대 장점으로 꼽았다. 요가 매트가 구비된 스트레칭 룸, 오락실 게임기, 식당과 간식 코너, 네일샵 등 다양한 부대시설과 라커 키를 디지털 지갑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간편한 결제 시스템도 장점으로 봤다.
특히 한국의 세신 문화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기자는 "이용객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는 바로 아줌마들의 전신 때밀이 때문"이라며 "수세미로 몸 구석구석을 꼼꼼하게 문질러 주는 이 서비스는 두려움과 사랑을 동시에 받는다"고 표현했다.
이어 "스스로 제거할 수 없는 각질까지 벗겨내고 물로 깨끗이 헹궈내는 간단하지만 꼼꼼한 시술로, '새로 태어난 듯한' 기분을 줬다"며 "한국식 때밀이는 이스탄불 터키탕과 상하이식 스크럽을 합쳐놓은 듯한 독특한 경험"이라고 묘사했다. 이 기자는 "(찜질방을 경험한) 네 시간은 너무 짧았다"며 "다음에는 페디큐어를 받기 위해 시간을 두 배로 늘려야겠다"고 후기를 마쳤다.
케데헌의 인기는 실제 관광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 인바운드 관광 전문 플랫폼 크리에이트립에 따르면 최근 천연 입욕제와 전용 샤워룸을 갖춘 프라이빗 세신 숍이 입소문을 타며 새 명소로 떠올랐다. 이 같은 인기에 힘입어 지난 6월 20일부터 지난달 19일까지 한 달간 대중목욕탕 여행 콘텐츠의 외국인 관광객 거래액은 전월 동기 대비 8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미국에서는 숏폼 영상 확산을 통해 김밥과 떡볶이가 '보편 간식'으로 자리 잡았고, 찜질방·K뷰티·K패션이 Z세대의 놀이문화 코드로 확산했다. 여행 플랫폼 부킹닷컴에 따르면 올여름 K팝 공연이 집중된 6월에 서울과 부산의 글로벌 검색량이 각각 30%, 50% 증가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케데헌 속 대중목욕탕이 여행 콘텐츠로 주목받으며 관광 자원 확장에도 기여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과거 한류가 주로 음악과 드라마에 국한된 반면 이제는 체험·관광·굿즈로 이어지는 직접 소비 모델로 자리 잡았다고 진단한다. 문화 확산이 관광·서비스업 고도화와 맞물리면서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내다보는 시각도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