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한국조선해양이 미국의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 본격화를 앞두고 대규모 조선업 사업재편에 나섰다. HD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의 합병은 단순한 몸집 불리기를 넘어 방위산업·특수선과 친환경 신기술, 해외 진출까지 전방위 경쟁력 강화를 겨냥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HD한국조선해양과 두 자회사 HD현대중공업, 현대미포는 27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양사 합병안을 의결했다. 절차를 거쳐 오는 12월 '통합 HD현대중공업'이 새롭게 출범한다. 합병은 미포 주주에게 존속회사인 HD현대중공업 신주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합병 비율은 1대 0.4059146이다.
업계는 이번 결정을 대형화 압력 속 전략적 행보로 본다. 중국은 CSSC·CSIC 합병으로, 일본은 JMU·IHIMU 통합으로 조선업 경쟁력 제고에 나선 바 있다. HD현대의 선택 역시 이 흐름과 맞닿아 있다. 글로벌 1위 조선 그룹 내 중·대형 조선사가 합병하는 것은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스케일 메리트'를 앞세운 글로벌 경쟁국과 정면 승부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합병의 가장 큰 동력은 방산 분야다. 현대중공업은 국내 최다 함정 건조 실적을 보유하며 기술력을 축적해왔지만 현대미포는 군함 라이선스가 없어 독자적 진출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합병으로 미포의 중형 도크·인력 역량과 현대중공업의 함정 노하우가 결합하면서 글로벌 군함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특히 미국 정부가 마스가 프로젝트를 통해 군함 건조 역량을 되살리려는 상황에서 통합 법인의 경쟁력 강화는 향후 미국 시장 협력 기회와 맞물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시장 전망도 호조다. 영국 군사 전문지 제인스(Janes)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신규 함정 수요는 2100척, 시장 규모는 36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HD현대는 방산 부문에서 2035년까지 매출 10조원 달성을 목표로 세우며 'K방산' 수출 전선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통합 법인은 방산 외에도 특수목적선과 친환경 선박 신기술, 해외 법인을 축으로 한 '3각 성장 전략'을 가동한다. 쇄빙선 등 북극항로 대응 특수선 시장은 물론, 액화천연가스(LNG)·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 선박 신기술을 대형선까지 확장 적용해 초격차 기술 확보에 나선다.
해외 진출 전략도 구체적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싱가포르에 투자법인을 세워 베트남, 필리핀 등 해외 생산거점을 총괄 관리하고 신규 조선소 발굴과 협력에 나선다. 이는 중국 조선사에 밀려난 벌크선·탱커 시장 점유율을 되찾고 해외사업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업계는 이번 합병을 단순한 내부 효율화가 아닌, 국제 정세와 맞물린 '산업 외교 전략'으로 본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마스가 프로젝트가 본격 궤도에 오르면서 한국 조선사의 역할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군함 건조 라이선스 보완과 기술·설비 결합은 미국 시장 진입에 필요한 조건을 맞춰가는 과정이라는 해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합병은 '규모의 경제'와 '방산 경쟁력 강화'라는 두 축을 동시에 겨냥한 것"이라며 "K방산이 글로벌 해군력 증강 흐름과 연결되는 국면에서 HD현대의 행보가 시장 재편을 촉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