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사람의 신체가 '가속 노화'를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단순히 단기 사망 위험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고 전 생애에 걸쳐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5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홍콩대 궈추이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한 논문에서 "폭염이 신체 기능을 빠르게 쇠퇴시키며 장기적으로는 생명 연장과 직결되는 생물학적 나이를 앞당긴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008년부터 2022년까지 대만 성인 2만4922명의 건강 데이터를 장기간 추적했다. 연구팀은 혈압, 염증 수치, 콜레스테롤, 폐·간·신장 기능 등 지표를 종합해 각 참가자의 '생물학적 나이'를 산출하고 폭염 노출 일수와 비교했다.
그 결과 폭염에 노출된 누적 기간이 통계 지표상 사분범위(IQR)만큼 늘어나면 생물학적 나이가 평균 8~11일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년간 폭염일수가 4일 증가한 사람들의 경우 생물학적 나이가 약 9일 더 빨라졌다. 육체노동자나 농촌 거주자, 가구당 에어컨 설치 대수가 적은 지역 주민은 그 영향이 더 두드러졌다.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생물학적 나이는 같은 기간 평균 33일 앞당겨졌다.
궈 교수는 "수치상으론 미미해 보이지만 폭염은 수십년간 반복돼왔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건강 영향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구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호주 매쿼리대 폴 백스 교수도 "폭염을 무사히 견뎌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노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그는 "작년에는 어린 시절 열 노출이 뇌 발달을 해친다는 연구가 나왔는데 이번에는 성인에게서 가속 노화를 확인했다"며 "폭염 피해는 나이와 무관하게 전 생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연구는 참여자의 체중, 흡연 및 운동 습관, 당뇨병·암과 같은 기존 질환, 거주 지역의 에어컨 보급률 등은 고려했지만 개인별 야외 활동 시간이나 개별 냉방기 사용 여부 등은 반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더 많은 변수를 포함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 역시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2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여름 누적 온열질환자는 4000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26명에 달했다. 7월 서울에서는 22일 연속 열대야가 나타나며 117년 만에 최다 열대야 일을 기록했다. 최저기온이 29.3도까지 치솟는 등 역대 최악의 밤더위가 이어졌다. 열사병 등으로 하루 100명 이상이 응급실을 찾은 날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폭염이 일상이 되면 단기적 피해를 넘어 장기적인 건강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