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경사 소식이 전해졌다. '저출생 반등'의 신호탄이 쏘아 올려졌다.
지난 6월 출생아 수가 1114명으로 집계돼 전년 같은 달보다 14.6% 증가했고 이는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달(972명)보다 142명 많아 부산형 출산·육아 정책의 성과가 통계로 확인된 셈이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6월 전국 출생아 수는 1만9953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4% 늘었다. 지역별로는 부산 14.6%, 대전 13.3%, 광주·충북 12.1%, 경남 10.9%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부산 출생아 누계는 6904명으로 전년 동기 6423명보다 7.5% 증가했다.
혼인 건수 역시 늘었다. 6월 부산 혼인 건수는 961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105건(12.3%) 증가했다. 상반기 누계 6255건은 전국 평균 증가율 7.1%를 웃돌며 2.8%포인트 높게 집계됐다.
지난해 부산 출생 통계 확정 자료에 따르면 부산 출생아 수는 1만3063명으로 전년보다 197명 늘었고 합계출산율은 0.68명으로 9년 만에 반등했다. 구·군별 출생아 수는 부산진구 1613명, 해운대구 1430명, 동래구 1208명, 북구 1149명, 사하구 1023명 순이었다. 합계출산율은 강서구 0.97명, 기장군 0.88명, 동래구 0.76명, 영도구 0.75명, 북구 0.74명이었다.
저출생 반등에는 부산시가 추진한 결혼·임신·출산·육아 생애주기별 맞춤 정책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거 지원으로는 신혼부부 주택융자 및 대출이자 지원, 럭키7하우스, 2자녀 이상 신혼부부 평생 임대료 지원 등이 제공된다. 결혼 지원으로는 공공예식장 '작은결혼식'과 '나의사랑, 나의 결혼'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임신·출산 지원 정책도 강화됐다. 임산부 콜택시 '마마콜', 임산부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난임·가임력 보존 의료비 지원, 산후조리비 및 둘째 이후 출산지원금,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등 다양한 혜택이 마련됐다.
보육·양육 분야에서는 어린이 대중교통 무료화, 영·영아반 운영, 시간제 어린이집, 현장학습비·특별활동비 지원, 입원아동 돌봄, 달빛어린이병원, '들락날락' 복합문화공간 등이 제공된다. 다자녀 가정에는 교육지원 포인트, 공영주차장·공공시설 요금 감면도 시행된다.
시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출산·양육 지원 정책을 이어가며 부모 부담을 줄이고 시민 참여형 캠페인과 프로그램을 통해 출산 친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핑크문화데이', '행복한 우리 가족, 부산 사계 이야기' 달력 그림 공모전, 아빠단 협동 프로그램 '함께 육아해요', 저출생 대응 캠페인 '아이가 행복입니다. 부산'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10월에는 공공형 키즈카페 '당신처럼 애지중지'가 시민공원에 문을 연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부산의 미래인 만큼 저출생 반등 흐름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이라며 "부모가 부담 없이 아이를 양육하고 아이가 즐겁게 성장할 수 있는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시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