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들의 시도는 단순한 사례가 아니라 용기 있는 실험이자 새로운 교육 도전의 기록입니다. 우리 대학의 미래를 만들고 나아가 한국 고등교육의 희망이 될 것입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유길상 총장은 지난 26일 다담미래학습관 하이브리드 스카이홀에서 열린 '2025학년도 생성형AI 활용 교육혁신 사례발표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27일 한기대에 따르면 이날 행사에는 100여 명의 교직원이 참석해 AI 기반 수업 혁신 성과를 공유했다.
주요 발표 내용은 ▲AI학습분석실 구축(장경식 교수) ▲인공지능 창작과 제어(한연희 교수) ▲실시간 협업 도구와 생성형AI 수업(우혁 교수) ▲GPT 커스터마이징 직업상담 수업 사례(이혜은 교수) 등이다.
AI학습분석실은 음성 텍스트 변환, 학습자 참여도 분석, 즉석 퀴즈 등 기능을 갖춰 교수자·학습자·관리자 모두의 교육 효과를 높인다.
한연희 교수는 AI 작곡과 로봇 보행 사례를 소개하며 "AI를 협력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혁 교수는 챗GPT·GEMINI·Padlet 등 도구를 활용한 IoT 강의 사례를 발표해 자기주도성과 협업 능력 향상 효과를 공유했다.
이혜은 교수는 '복복이(취업 스트레스 해소 챗봇)', '프렙터 GPT(면접 시뮬레이터)' 등 학생들이 직접 개발한 AI 상담도구 성과를 소개했다.
유 총장은 "이번 성과는 창의적 문제해결형 인재 양성과 충남 RISE 사업을 통한 대학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