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2025년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기관 간 업무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프로그램'은 대기업 등과 스타트업 간 협업 수요를 발굴·연결하고, 정부에서 협업 자금을 지원하여 스타트업 중심 개방형 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생협력 사업이다.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이 26일 '2025년 민관협력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업·기관 간 업무 협약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원본보기 아이콘이번 협약 대상은 개방형 혁신 수요기업 65개사, 협업 스타트업 85개사다.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등 수요기업은 협업 과제를 통한 성과 창출을 위해 보유 자원·인프라 제공, CVC(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 투자 등 스타트업과의 적극적 협력을 약속했다.
협약에 참여하는 에코프로는 제조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앰버로드와 함께 이차전지 소재 제조공정 효율화를 추진할 계획이며, LG유플러스의 경우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요약·평론 실증을 위해 AI 기반 콘텐츠 기획·제작·편집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위시와 협업에 나섰다.
올해에는 개방형 혁신 참여에 애로를 겪는 중견기업들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중견기업-스타트업 오픈이노베이션 챌린지'를 통해 중견기업 참여가 활성화됐다. 중견기업 한국에자이는 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초기 알츠하이머병 선별 및 예방·관리 솔루션 실증을 위해 AI 치매 진단 스타트업 뉴로엑스티와 협업할 계획이다.
85개 과제는 이날 협약식을 계기로 본격 추진되며, 올해 말 통합경진대회를 통해 우수 성과 과제에 대한 포상 등 인센티브가 제공될 예정이다.
노용석 중기부 차관은 "장기 협업이 요구되는 개방형 혁신 특성을 고려해 매칭·기술검증·시장검증 등 협업단계별 성과에 기반한 효과적 지원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며 "다양한 기업·기관의 개방형 혁신 참여를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위해 공정한 협력 질서 조성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