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중국의 과학인 우대 정책 '원사' 제도를 듣고 "훌륭하다"며 "정말 검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기초과학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는 말에 이 대통령은 "(한국은) 거위를 아예 안 키운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전 10시부터 2시간가량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주재했다. 회의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인사들과 민간·학계의 자문·심의위원들이 참석했다. 회의와 심의 과정은 모두 생중계됐다.
심의위원장을 맡은 김지현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교수는 "중국에는 원사 제도가 있다"면서 "국가가 인정하는 과학자인데 학교 안에 2층짜리 집을 지어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평생 죽을 때까지 연구를 보장하고, 의전 서열도 시장 다음이며 전용차도 나온다"며 "국가 연구개발(R&D)은 원사를 스타 플레이어로 구축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경력프로그램으로 검토해볼 만하다고 언급했다. 또 "예산 규모도 크지 않다"며 정책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 교수는 "국가가 공인하는 과학자를 지명하고 본인 연봉 외에 인센티브를 1억씩만 준다고 하면 연예인 왜 하겠느냐"며 "연예인보다 과학자 되는 게 더 쉽다"고 꼬집었다. 이 대통령 역시 "진짜 그런 것 같다"고 맞장구쳤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어렸을 때 물어보면 (꿈에 대해) 반은 과학자, 반은 대통령이었다"며 "그런 시대가 다시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
김현정 서강대 교수는 이 대통령을 향해 "기초과학이 사실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는데 황금알은 생각도 못 하고 알 낳기도 힘들다"고 비판했다. 이 대통령 역시 "거위를 아예 안 키우죠"라고 대답했고, 김 교수가 이어 "먹이 먹이기도 힘들다"고 토로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