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주요 관광지들이 도 넘은 '바가지요금'으로 시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부산의 한 관광지에서 어묵을 1개에 3000원에 판매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8일 한 유튜브 채널에는 부산 용궁사 인근에 있는 노점상을 방문한 유튜버가 어묵 가격을 듣고 놀라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서 유튜버는 한 노점에서 어묵 가격을 물었다가 "3000원"이라는 답변을 듣고 "몇 개에 3000원이에요?"라고 되물었다. 그러자 "1개에 3000원"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유튜버는 "많이 비싸다"며 놀란 표정을 지었다.
유튜버 일행은 "잘못 들은 거 아닌가?"라며 "어묵이 하나에 3000원이면 너무한 거 아니냐. 사장님 빌딩 사겠는데"라며 연신 놀라워했다. 유튜버는 "그래도 부산 어묵이니 일단 먹어보겠다"고 했다. 이어 해당 어묵을 먹어본 그는 "어묵 맛은 그냥 어디서나 파는 어묵 맛"이라며 특별할 게 없다는 평을 남겼다.
또 다른 노점상에 갔지만 상황은 비슷했다. 역시 어묵 1개에 3000원이었다. 유튜버가 "많이 비싼 것 아니냐"고 상인에게 묻자 상인은 "들어봐 어묵 자체가 틀려"라며 "일단 먹어 보고 말씀하시라"고 했다. 유튜버는 시청자들을 향해 "한 개에 3000원은 너무하다"며 "가족들끼리 오면 난감할 것 같다. 딸이 어묵을 좋아해서 4개 먹으면 1만2000원"이라며 황당해했다. 유튜버는 "물가가 비싼 서울 강남역의 노점에서도 어묵은 보통 한 개에 1000원"이라며 부산 어묵의 바가지 요금을 지적했다.
해당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부산도 바가지 논란으로 관광객 끊겨야 정신 차리려나" "국내여행 가기 싫어진다" "뭘 넣었길래 3000원?" "아무리 관광지라도 이건 좀 심하잖아" "이래서 국내 관광지 안 간다" "강남보다 비싸다니" 등 비판적인 반응을 쏟아냈다. 일부 누리꾼들은 가격 담합을 의심하며 민원까지 제기했지만, 관할 지자체는 "음식 판매 가격은 가게 자율이며 강제할 수 없는 부분"이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최근 전국의 주요 관광지에서 바가지, 불친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앞서 울릉도는 비계 삼겹살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울릉도 한 고깃집에서 1인분(120g)에 1만5000원을 결제했는데 절반 이상이 비계였다는 한 유튜버의 폭로 이후 논란이 커졌다. 여수시 한 맛집에서는 2인분을 주문하고 식사 중이던 한 유튜버에게 "얼른 먹어야 한다" "이렇게 있으면 (시간) 무한정이잖아" "예약 손님을 앉혀야 하거든" 등 갑자기 식사를 재촉하는 발언을 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잇따른 관광지 '불친절' 논란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내 관광 전반에 대한 신뢰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전문가들은 "관광객에게는 한 번의 여행이 한 도시의 전체 이미지를 좌우한다"며 "단기 수익에 집중한 일부 상인의 태도가 지역 관광산업 전반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가 단속 강화, 자율 신고제 확대, 소비자 보호 캠페인 등을 통해 구조적인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