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방산주가 강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공격 지원을 시사하면서다.
이날 오전 9시37분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013,000
전일대비
36,000
등락률
-3.43%
거래량
189,996
전일가
1,049,000
2025.10.24 15:30 기준
관련기사
또 사상 최고 코스피, 3940선 안착…'사천피' 바짝코스피 1%대 상승…장 초반 3903 신고가 경신롤러코스터 코스피, 3900 터치 후 1% 하락 마감
close
는 전 거래일 대비 4만1000원(4.92%) 오른 87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외
LIG넥스원
LIG넥스원
0795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85,000
전일대비
24,500
등락률
+5.32%
거래량
352,684
전일가
460,500
2025.10.24 15:30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LIG넥스원, 가파른 이익 개선 속도…투자의견·목표가↑"[특징주]이스라엘-하마스 휴전합의에 방산주↓러·우 전쟁서 맹활약 군사용 드론…한국 업체는
close
(5.75%),
현대로템
현대로템
0643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4,500
전일대비
7,000
등락률
-2.90%
거래량
831,412
전일가
241,500
2025.10.24 15:30 기준
관련기사
현대로템, 美 쉴드AI와 'AI 다목적 드론' 기술 개발 업무협약현대로템, 국내 철도 업계 최초 '국제 사이버보안 인증' 획득삼성증권, 업계 최초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 돌파
close
(4.60%),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
2722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5,000
전일대비
800
등락률
-1.43%
거래량
878,771
전일가
55,800
2025.10.24 15:30 기준
관련기사
HMM, 한화그룹·KR과 '무탄소 추진체계' 공동개발 MOU[클릭 e종목]"한화시스템, K2 전차 수출 확대 수혜주"핀산협, 'AI와 레그테크 융합' 세미나 개최
close
(3.72%),
삼양컴텍
삼양컴텍
4845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7,170
전일대비
60
등락률
-0.35%
거래량
478,163
전일가
17,230
2025.10.24 15:30 기준
관련기사
중소형 증권사 회복세에 업종 전반 기대감 확산연 4%대 최저금리로 4배 투자금을! 신용미수대환도 즉시 가능!4배 주식자금, 신용미수대환을 연 4%대 부담 없는 금리로!
close
(19.13%),
센서뷰
센서뷰
3213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288
전일대비
17
등락률
-1.30%
거래량
336,039
전일가
1,305
2025.10.24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센서뷰, 퀄컴 mmWave 독점공급 '기술력'앞세워 프로브카드 양산 기대[클릭 e종목]"센서뷰, AI·자율주행 성장 수혜"[특징주]센서뷰, 이재용 AI·자율주행 기반기술 6G '선점'
close
(9.09%) 등 관련 종목들이 상승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침략국을 공격하지 않고 전쟁에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어렵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스포츠로 치면 환상적인 수비진을 갖췄지만 공격은 허용되지 않는 훌륭한 팀과 같다. 승리할 확률이 없다"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고 밝혔다.
침략국은 러시아를 지칭한 것으로 보이며, 우크라이나가 반격하지 않고는 전쟁에서 이기기 힘들다는 주장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지연이 전망되면서 방산주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또 증권가에서 글로벌 무기 수요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점도 투심을 이끌었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평화는 아직 가까이 오지 않았다'는 보고서에서 "휴전된다고 해도 글로벌 무기 수요 증가 추세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방산주 하락은 저가 매수의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며 "일단 휴전 협상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인데, 만약 된다고 하더라도 정황상 러시아의 요구가 많이 관철돼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휴전이 이루어지더라도 러시아의 영토 확장이라는 본질적인 안보 위협이 해소되지 않는 휴전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유럽의 무기 수요 감소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