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방산주가 강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공격 지원을 시사하면서다.
이날 오전 9시37분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91,000
전일대비
57,000
등락률
+6.83%
거래량
255,134
전일가
834,000
2025.08.22 15:30 기준
관련기사
코스피, 한미정상회담 기대감에 연이틀 상승…외인·기관 '사자'코스피, 잭슨홀 경계감에도 1% '우뚝'…코스닥도 오름세개인과 외국인 양매도…상승폭 반납한 코스피
close
는 전 거래일 대비 4만1000원(4.92%) 오른 87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외
LIG넥스원
LIG넥스원
0795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24,000
전일대비
28,500
등락률
+5.75%
거래량
165,163
전일가
495,500
2025.08.22 15:30 기준
관련기사
코스피, 한미정상회담 기대감에 연이틀 상승…외인·기관 '사자'대한항공-LIG넥스원, '1.8조' 한국형 전자전기 개발 출사표힘빠진 방산株, 잘나가던 ETF도 부진
close
(5.75%),
현대로템
현대로템
0643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81,000
전일대비
7,200
등락률
+4.14%
거래량
880,581
전일가
173,800
2025.08.22 15:30 기준
관련기사
[르포]"1500마력 질주하는 K2 전차…생산력 앞세운 K방산의 현장"코스피, 주도주 부재에 각종 악재까지…반등은 언제쯤연 4%대 최저금리 스탁론 출시…주식자금 활용 부담 확 낮췄다
close
(4.60%),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
2722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3,300
전일대비
2,200
등락률
+4.31%
거래량
1,134,626
전일가
51,100
2025.08.22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트럼프·푸틴 회담에 종전 기대↑…국내 방산주 급락10대그룹 시총 증가율 1위는 한화…관세가 바꾼 증시 지형[클릭e종목]"한화시스템, 단기 실적 흔들려도 장기적으로 필수 투자처"
close
(3.72%),
삼양컴텍
삼양컴텍
4845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5,270
전일대비
1,990
등락률
+14.98%
거래량
10,980,723
전일가
13,280
2025.08.22 15:30 기준
관련기사
성장 모멘텀 충분한데 단기 조정? 화장품株 저가매수 노려볼 만화장품株, 글로벌 입지 확대 속 단기 조정… 중장기 투자 기회로 부각?[특징주]삼양컴텍, 코스닥 상장 첫날 따블 '터치'
close
(19.13%),
센서뷰
센서뷰
3213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431
전일대비
122
등락률
+9.32%
거래량
5,962,483
전일가
1,309
2025.08.22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센서뷰, 퀄컴 mmWave 독점공급 '기술력'앞세워 프로브카드 양산 기대[클릭 e종목]"센서뷰, AI·자율주행 성장 수혜"[특징주]센서뷰, 이재용 AI·자율주행 기반기술 6G '선점'
close
(9.09%) 등 관련 종목들이 상승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침략국을 공격하지 않고 전쟁에서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매우 어렵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스포츠로 치면 환상적인 수비진을 갖췄지만 공격은 허용되지 않는 훌륭한 팀과 같다. 승리할 확률이 없다"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고 밝혔다.
침략국은 러시아를 지칭한 것으로 보이며, 우크라이나가 반격하지 않고는 전쟁에서 이기기 힘들다는 주장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지연이 전망되면서 방산주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또 증권가에서 글로벌 무기 수요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점도 투심을 이끌었다.
이재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평화는 아직 가까이 오지 않았다'는 보고서에서 "휴전된다고 해도 글로벌 무기 수요 증가 추세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방산주 하락은 저가 매수의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며 "일단 휴전 협상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인데, 만약 된다고 하더라도 정황상 러시아의 요구가 많이 관철돼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휴전이 이루어지더라도 러시아의 영토 확장이라는 본질적인 안보 위협이 해소되지 않는 휴전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유럽의 무기 수요 감소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