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이 6·25 전쟁 당시 조국을 떠나 이역만리 타국인 대한민국을 지키다 산화한 튀르키예군 추정 유해 4위를 인수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21일 국유단 신원확인센터 앞에 마련된 야외행사장에서 유엔군사령부로부터 튀르키예 군 추정 유해 인수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살리 무랏 타메르 주한 튀르키예 대사와 이근원 국유단장 등이 참석했다.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은 지난 14일 정밀감식을 거쳐 보관 중이던 튀르키예 군 유해를 수송기를 통해 하와이 히캄 공군기지에서 오산 공군기지로 운송해 유엔사로 인도했다. 유엔사에서는 해당 유해를 경기도 평택시 캠프 험프리스(Camp Humphreys) 내 미8군 영현소에 임시 보관해왔다.
튀르키예의 경우 전사자 대우에 대한 정서가 우리나라와 미국 등과는 다르다. '전사한 장소가 곧 순교의 땅'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어 타국일지라도 전사한 곳에 묻히는 것을 명예로 여긴다. 국유단은 이점을 고려해 국내에서 추가적인 정밀감식을 거친 뒤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과의 협의를 거쳐 본국 송환 또는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UNMCK)에 안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튀르키에 유해 4위는 미 DPAA가 1996∼2005년 북한지역에서 수습한 유해 3위, 1984년부터 추진 중인 하와이 국립 태평양 기념 묘지(펀치볼) 재개장 과정에서 확인된 유해 1위다.
이 단장은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위해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유엔군의 헌신을 기억하고 끝까지 보답하는 게 우리의 책무"라며 "오늘 네 분의 튀르키예 추정 참전용사의 유해를 받았고, 최종 정밀감식을 통해 확인한 후 주한 튀르키예 대사관과 긴밀하게 협의해 최고의 예우를 다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