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 기후 위기와 도시화, 고령화가 맞물리며 '도시형 복합재난'이 발생하고 있어, 재난 취약계층을 보호할 지역 맞춤형 대응 체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광주연구원은 20일 '복합재난시대, 광주지역 재난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대응체계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올해 광주에서 발생한 기록적 폭우와 폭염 피해는 인프라 노후화, 고령화와 겹쳐 전형적인 복합재난 상황을 보여줬다"고 진단했다. 복합재난은 동시다발적·연쇄적 영향이 교차하는 재난으로, 기존 개별 대응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여름철 폭우·폭염 사례와 함께 상습 침수, 노후 인프라, 고령자 밀집 지역 등 위험 요인이 중첩된 환경을 '도시형 복합재난'으로 규정했다. 연구진은 "피해가 동일 지역·동일 계층에서 반복되는 구조적 취약성은 현행 법·제도나 매뉴얼로 해소하기 어렵다"며 "광주시 재난 취약계층 보호 체계와 회복력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주거 취약계층, 고령자·장애인, 이주민, 플랫폼 노동자 등이 침수·고립·정전·정보 사각지대 등 다층적 피해를 반복적으로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대응 방안으로 ▲복합재난 정의 법제화 ▲피해 유형별 대응 원칙 명확화 ▲동 단위 돌봄 방재 통합모델 ▲찾아가는 알림 체계 ▲원스톱 회복지원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또 인공지능(AI)과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위험 예측·의사결정 지원 등 스마트 재난관리 기술 도입 필요성도 제기했다.
아울러 다국어 음성 알림 제공, 쉼터 접근성 강화, 1인 가구 대응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고위험군 맞춤형 체계 마련을 통해 정보 전달과 대피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연구원 연구진은 "복합재난은 단순 피해 복구를 넘어 시민의 심리·사회적 회복과 지역 공동체 회복력까지 아우르는 통합적 대응이 필수적이다"며 "재난 불평등을 해소하고 시민 참여형 회복 거버넌스를 구축해 광주가 누구나 안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