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경쟁력 없는 설비 퇴출"…울산 석화업계, 구조조정 앞두고 자구책 모색

정부 "무임승차 없다" 선언에 업계 의지 표명
中에 밀린 범용 설비 정리하고 스페셜티 강화
국민의힘 김기현 "석유화학 특별법 만들겠다"

중국발 공급과잉에 직면한 석유화학업계가 자율 구조조정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부가 "무임승차는 허용하지 않겠다"며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주문하자 업계에서 "경쟁력 없는 설비는 퇴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자발적으로 낸 것이다. 정부는 20일 오후 석화업계의 자발적 사업재편을 끌어내기 위해 각종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는 내용의 석유화학 구조 개편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 지원이 합쳐질 경우 기업 차원의 구조 재편 논의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효성화학·한화솔루션·SK지오센트릭·애경케미칼·태광산업 등 울산 석유화학단지 내 주요 석화기업들은 전날인 19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위기의 석유화학산업, 그 돌파구를 찾다' 간담회에 참석해 범용제품 생산라인 축소와 다운스트림·스페셜티 강화로 요약되는 '자율 재편 로드맵'을 공유했다. 정부의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하루 앞두고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한 건 정책 기조에 발맞추는 것과 동시에 "더는 버틸 수 없다"는 절박함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위기의 석유화학산업, 그 돌파구를 찾다'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조용준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위기의 석유화학산업, 그 돌파구를 찾다'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조용준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참석자들은 산업 공동체 붕괴를 막기 위해선 설비 감축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중국발 공급과잉·국내 원가 불리함·경기 사이클 붕괴라는 '삼중 압박'을 피하기 위해선 생산 축소만이 해법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대신 틈새 스페셜티로 무게추를 옮기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업계는 생존을 위한 최소 조건으로 ▲중국산 저가 유입 차단 ▲정책자금 5조원 이상 확대 ▲전기·물류비 부담 완화 ▲공정거래법상 담합 예외 인정 등을 요구했다. 단순한 지원 요구가 아니라 구조조정 실행을 위한 '필수 인프라'를 정부에 주문한 것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과 간담회를 공동 주최한 같은 당 박성민 의원은 이날 "세제 지원을 확대해 기업의 투자 여력을 보완하겠다"고 했다. 박 의원은 이번 주 안에 투자 세액 공제 강화와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기한 연장 등을 포함한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