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연속 폐점 … 경남 마트노조 "정부, 해결 나서라"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최근 임대료 협상에 난항을 겪은 점포 15곳을 폐점하기로 하자 경남지역 종사자들이 정부 차원의 해결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홈플러스 마트 종사자들이 가입한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경남본부는 19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 폐점 사태는 홈플러스 폐점 사태는 한 기업의 위기나 구조조정 차원이 아닌 지역 경제 전반이 흔들리는 사회적 위기로 정부가 즉각 나서야 한다"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경남본부가 홈플러스 폐점 중단 및 정부 차원의 해결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경남본부가 홈플러스 폐점 중단 및 정부 차원의 해결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마트노조 경남본부는 "대주주 MBK는 8월 말까지 인수대상자를 찾겠다고 했지만 시한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15개 점포 폐점이란 결정을 내렸다"며 "이는 인수합병에 진정성이 없고 홈플러스를 조금씩 청산하겠단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점포 하나가 문을 닫으면 945명의 직간접 고용 노동자와 7898명의 인근지역 상권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고 연간 2700억원의 경제 손실이 발생하며 해당 지역 주택가격이 최대 34% 하락한다는 경고가 있다"며 "이러한 피해는 지역 주민과 소비자 모두에게 돌아갈 재앙"이라고 했다.


강순영 경남본부장은 "지금은 임대료 협상이 안 돼서 폐점을 결정했다지만 조만간 적자 매장이라며 더 많은 점포를 닫고 운영자금 핑계로 자가 매장까지 팔아치울 것"이라며 "지역경제가 무너지기 전에 정부가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의 사회적 대화 기구 구성 ▲MBK 청문회 즉각 시행 ▲김병주 MBK 회장 구속수사 ▲MBK 측의 점포 폐점 중단 등을 요구했다.


아울러 오는 9월 8일 부터 6일간은 경남도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13일에는 전국동시다발 집회를 열 예정이다.


노조에 따르면 경남에는 홈플러스 대형매장 8곳, 익스프레스 매장 10곳 등 총 18개 매장이 있으며 직접 고용된 정직원만 1000여명으로 파악됐다.


노조 관계자는 "경남에는 아직 폐점을 앞둔 매장이 없고 계약이 만료된 최근 진주, 삼천포 매장도 계약 갱신을 했지만 언제 폐점 대상이 될지 알 수 없다"며 "계약이 갱신됐어도 회사가 살아남아야 매장 운영이 가능한 것"이라고 호소했다.


또 "이달 말까지 우선협상대상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홈플러스 매각은 물 건너간 것"이라며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 연속 폐점 … 경남 마트노조 "정부, 해결 나서라" 원본보기 아이콘

홈플러스는 유동성 악화 등으로 지난 3월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한 이후 지난달 법원으로부터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 허가를 받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던 중 전국 68개 임대 점포를 대상으로 임대료를 인하해 달라는 내용의 협상을 진행했으나 그중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해 최근 순차적 폐점을 결정했다.


해당 점포는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문화점, 전주완산점, 동촌점, 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 등이다.


또 다음 달 1일부로 본사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자에 한 해 무급휴직을 시행하고, 지난 3월부터 시행 중인 임원 급여 일부 반납은 회생 성공 시까지 연장할 방침이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