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멘트 업계가 2분기에도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건설경기 침체, 원자재 가격 불안정, 환경 규제 강화 등 삼중고(三重苦)가 겹치며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탓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수도권 지역에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면서 시장이 조금은 활기를 찾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요 6개 시멘트사(한일시멘트·아세아시멘트·한라시멘트·삼표시멘트·성신양회·쌍용C&E)의 2분기 합산 영업이익(연결 기준)은 1903억원으로 전년(3069억원) 대비 약 38% 감소했다. 지난 1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6.2% 하락했던 점을 고려하면 감소 폭이 줄긴 했으나, 여전히 부진한 실적이다. 특히 한일시멘트가 475억원으로 전년(1070억원) 대비 55.6% 감소하며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성신양회(-36.5%), 삼표시멘트(-29.4%), 아세아시멘트(한라시멘트 포함·-29.6%), 쌍용C&E(-23.9%) 등도 줄줄이 20% 이상씩 빠졌다.
국내 시멘트 업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건설 경기 침체와 이에 따른 수요의 감소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주요 회원사의 내수 출하량은 1888만t으로 전년 대비 17.4% 감소했다. 조사가 시작된 1992년 이후 가장 저조한 수치다. 같은 기간 수출(시멘트·클링커) 출하량이 210만t으로 82.6% 늘며 하락 폭을 일부 상쇄했으나,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뒤집진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해 생산량과 설비 투자를 줄이며 버티고 있다"며 "신제품 개발과 사업 다각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으나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로 업계 재원은 더 빠르게 고갈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충북지역 시멘트 업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2025년 135ppm에서 2029년 115ppm까지 단계적으로 줄이는 내용을 뼈대로 하는 '개정 대기관리권역법 시행규칙'을 입법 예고하고 올해부터 본격 시행했다. 이에 시멘트 업계는 제조 공정에서 생산되는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장치인 SCR(선택적 촉매환원) 설립을 위해 수억 원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5년간 주요 시멘트사가 환경규제 대응을 위해 쏟은 설비 투자 비용은 연평균 4302억원으로, 이는 같은 기간 이들의 연평균 순이익과 맞먹는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대규모 건설 사업이 하나둘씩 착공에 들어가면서 상황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보면서도 큰 흐름을 바꾸긴 역부족일 것으로 전망했다. 송창영 광주대 건축학과 교수는 "공사가 일부 수도권 지역에 한정돼 있고 지방의 인구 절벽 현상이 심각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면서 "지금보다는 건설경기가 살아나면서 후방 산업도 연쇄효과를 보겠으나 3~4년 전의 호황기처럼 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 경기 침체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환경규제로 인한 설비 구축 비용 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훨씬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