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尹정부 '8·15 독트린' 폐기…남북 평화공존"

통일부가 '반북 흡수통일·자유의 북진론'으로 대표되는 윤석열 정부의 이른바 '8·15 통일 독트린'을 폐기한다고 18일 밝혔다. 대신 '남북 평화공존'을 추구하는 이재명 정부의 새 대북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정례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구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지난주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한 대북정책 방향을 천명했다"며 "핵심 대북 메시지로 '북측의 체제 존중, 흡수통일 불추구, 일체의 적대행위 불추진'의 3가지를 제시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구 대변인은 "이는 윤석열 정부 '8·15 통일 독트린'의 반북 흡수통일·자유의 북진론을 폐기하고, 평화 공존의 대북정책 기조를 분명히 한 것"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한반도의 실질적 긴장 완화와 남북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8·15 통일 독트린은 지난해 광복절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자유 통일 대한민국'을 목표로 제시한 대북 정책으로, 사실상 흡수통일에 대한 의지로 해석됐다.

한편 구 대변인은 북한이 이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시간을 두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