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카의 나라' 전쟁이 가져온 와인 열풍…"못 들여와 자급자족"

러시아 와인 생산량 전쟁 후 25%↑
푸틴 "서방 경제 제재 맞서 자급자족" 강조

러시아에서 '와인 애국 소비' 열풍이 확산해 포도주 국내 생산량이 최근 10년간 최대치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국제와인기구(OIV) 집계를 인용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발발한 2022년 2월 이래 러시아 국내 와인 생산량은 25%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 배경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서방의 경제제재에 맞서 경제적 자급자족을 강조한 것이 있다.

러시아 와인 생산 중 3분의 1 이상은 흑해 연안 크라스노다르 지역에서 이뤄진다. 다만 전체 러시아 경제에서 와인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다. 러시아의 국내 와인 소비량은 2024년 기준 8억1000만ℓ이고, 생산량은 4억7000만~5억4000만ℓ로 추정된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러시아가 자국 와인 생산을 늘린 배경은 전 세계적인 경제 제재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블룸버그는 "서방측 와인이 국내에 들어오기 어렵게 된 사연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러시아 당국은 미국과 일부 유럽 국가들 등 이른바 '비우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와인에 부과되는 관세율을 2배로 늘려 25%로 올렸다. 이에 따라 러시아에서 인기가 높던 이탈리아 북동부산 스파클링 와인 '프로세코', 포르투갈 북서부산 '비뉴 베르드' 등 수입 와인들의 가격대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 국내산 대체품을 찾기 시작했다.

보드카 생산은 급감…10년 내 최저

반면 와인과 대조적으로 러시아를 대표하는 주종인 국내 보드카 생산량은 급감했다. 러시아 RBC의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국내 보드카 생산량은 2025년 1~2월에 7600만ℓ에 그쳐 26.3%나 감소했는데, 이는 거의 10년 만에 최저치에 해당한다.


크라스노다르 지역에서 가족 포도농장 겸 와이너리를 운영하는 미하일 니콜라예프는 "국산 와인은 이탈리아나 프랑스 등에서 생산되는 와인과 스타일은 비슷하면서도 가격이 낮아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소믈리에협회 회원인 데니스 루덴코는 "애국심을 드러내기 위해 국산 와인만 마시는 소비자들이 생겼다"고 전했다.


정부도 판매 장려를 독려하고 있다. 소매점 와인 중 최소 20%를 국산으로 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일부 정치인들은 할당량을 30~40% 사이로 더 높이자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올해 들어 포도원의 토지 사용 목적 변경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규제 완화를 지시하기도 했다.

크림반도에서도 와인 생산 붐이 일고 있다. 과거 우크라이나 영토였으나 러시아에 2014년 점령된 크림반도의 최대 도시 세바스토폴의 러시아 측 행정책임자는 포도원 확장에 올해 7억3800만 루블(128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고 보도했다.이 지역은 러시아에 점령되기 직전 해인 2013년에 우크라이나에서 2번째로 와인 생산량이 많은 곳이었다. 다만 서방은 러시아에 크림반도가 점령된 후 와인을 포함한 크림반도산 상품의 수입을 금지해 크림반도산 와인은 내수용으로만 판매된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