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공급 과잉에 경쟁력 약화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 재편에 나선다. 기업 간, 기업 내 자발적 사업 재편이 속도감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판을 짜고, 구조 개편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각종 금융, 자금, 세제 등 지원을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석유화학산업 구조 재편 방안'을 마련해 관계부처 및 업계와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 늦어도 이달 중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중동·중국 등의 대규모 설비 증설로 인한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며 3∼4년째 불황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한화그룹과 DL그룹이 합작해 설립한 여천NCC가 적자 누적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로 부도 위기에 몰리며 추가 출자, 유상증자와 같은 긴급 수혈을 받기도 했다.
한국화학산업협회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을 통해 진행한 컨설팅 용역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영업손익과 재무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재의 불황이 이어진다면 3년 뒤에는 기업의 절반은 지속이 불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달 산업부가 발표하는 구조 개편 방안은 기업의 자발적 사업 재편 추진을 독려하기 위한 각종 인센티브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전해졌다.당사자인 기업들이 각자 중장기 사업계획과 손익계산을 통해 자발적으로 사업을 정리·조정하거나 인수·합병(M&A) 등 '결단'을 내리면, 사업 재편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정부가 각종 제도·행정 지원에 나선다는 것이다.
이번 대책에서는 개별 기업의 구체적인 구조조정 계획·수치도 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공급 과잉에 대응하기 위한 생산 물량 조절이 불가피한 만큼, 업계 논의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생산 설비 가동 계획이 정리될 전망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