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7월 소매판매 3.7%↑·산업생산 5.7%↑…시장 예상 하회

정부지원 효과 약화로 추가 부양책 필요성 커져

중국의 지난달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해 시장 예상을 하회했다. 산업생산은 5.7% 증가했다.


EPA연합뉴스

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해 시장 예상치(4.6%)를 하회했다. 폭염과 홍수 등 계절적 영향 속에 이구환신 정책 지원금 공백기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소매 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수치로 내수 경기 가늠자다.

7월 산업생산도 전년 대비 5.7% 증가해 예상치인 5.9%를 밑돌았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 투자 변화를 보여주는 1~7월 고정자산투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해 시장 예상치(2.7%)를 하회했다.


7월 전국 도시 실업률 평균은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5.2%였다. 1~7월 기준으로도 5.2%로 동일했다. 여기에는 중국의 대학 졸업 시즌이라는 계절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가통계국은 "일부 지역의 고온과 홍수가 7월 경제 성장에 단기 타격을 줬다"면서 "경제 회복의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중국 소매판매의 급격한 부진에 이어 산업생산이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향후 더 많은 경기 부양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싱크탱크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쉬톈천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중국 경제는 정부 지원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는데, 문제는 그 지원들이 너무 한 해의 앞부분에 집중됐다는 것"이라면서 "이제는 그 영향이 어느 정도 희미해졌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이 미·중 무역전쟁이 휴전된 틈에 공장들이 물량을 서둘러 내보내면서 급격한 둔화를 피하는 데는 도움을 줬으나, 약한 국내 수요와 글로벌 리스크가 3분기 성장세를 끌어내릴 것으로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최근 들어 경제 성장을 위한 대규모 조치들을 새로 발표하는 대신 기업 간 치열한 경쟁을 억제하려 하고 있어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