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올해 3~6월 마약류 범죄 집중단속 결과 총 5109명을 검거하고 이 중 964명을 구속했다고 17일 밝혔다.
마약 종류별로는 향정신성의약품(필로폰·합성대마·MDMA 등) 사범이 4,151명(81.2%), 마약(양귀비·코카인·펜타닐 등) 사범이 530명(10.4%), 대마(대마초·해시시오일 등) 사범이 412명(8.1%) 순이었다.
유형별로는 투약자 등 단순사범이 전년 동기간 대비 271명(9.1%) 증가한 반면 판매·유통 등 공급사범은 185명(7.6%) 감소했다. 이는 한 명의 판매자가 동시에 다수의 구매자에게 유통할 수 있는' 온라인 거래의 특성이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온라인 마약류 사범은 인터넷 접근성이 높은 10~30대(61.8%)를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2% 증가하는 등 전체 마약류 사범 내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의료용 마약류는 전년 대비 8.8% 증가한 309명을, 외국인 마약류 사범은 전체 마약사범의 14.4%에 해당하는 734명을 검거했다. '클럽 마약류'라고 불리는 필로폰·엑스터시·케타민 3종 마약류의 압수량은 전년 39kg의 약 4배에 달하는 153kg을 압수했다. 상당수가 해외에서 마약류를 국제택배 또는 인편으로 대량 밀반입한 후 국내에서 소분하여 유통한 사례로 파악됐다.
경찰은 하반기에도 집중단속을 전개한다. 전국 경찰서 형사팀 중 78개 팀을 마약수사 전담 인력으로 재배치하고, 시도청 국제범죄수사팀은 외국인 마약류 범죄 대응에 집중하는 등 전담 인력을 2.5배 확대한다. 전국 5개 시도청에 '가상자산 전담 추적·수사팀'을 신설해 마약 유통자금을 차단할 방침이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마약류 범죄에 악용되는 가상자산에 대한 전담대응팀 신설을 포함하여, 인력과 조직을 대폭 확대하는 등 특단의 대책을 추진한다"며 "검거 보상금을 최대 5억원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이 개정된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제보를 당부드린다고"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