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은 14일 북·미 대화의 새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내신 기자단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백악관 참모들을 만나 '지금의 상황이 뭔가 새로운 돌파구를 만들어내는 데는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이 필요한 것 같다, 그런 것을 기대한다'고 하자 미국 측은 상당히 호의적이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조 장관은 또 북측이 대화의 전제로 핵(核)보유국 인정을 요구할 가능성과 관련 "현재까지 미국은 북한이 핵을 보유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여러 가지 밀고 당기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미 대화가 완벽한 비핵화를 전제로 할 수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군축 협상으로 진행될 수도 없을 것"이라며 "어디선가 접점을 찾아서 협상을 시작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대화 등이 이뤄질지에 대해선 "가정적 상황이라 답할 수 없다"고 전했다.
조 장관은 아울러 오는 25일 개최될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 현대화, 주한미군 감축 등 현안이 어떤 수준까지 논의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 실무선에서 협의·협상을 진행 중"이라면서 "상세한 내용을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이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 관련해선 "숫자 문제는 사령관이 자기 의견을 얘기한 것인데, 크게 우리가 주목하지 않는다"며 "기술이 발전하면 앞으로 그렇게(감축 가능성을) 볼 수도 있다는 얘기"라고 전했다.
한편 조 장관은 자신과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기에 앞서 일본을 먼저 방문하는 것을 두고 "실사구시를 추구하는 이재명 정부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며 "실용 외교의 철학이 실천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조 장관이 일본을 먼저 간 것이 이 대통령의 지침이었다며 "일부 이재명 정부에 대한 (반일이라는) 잘못된 프레임 또는 낙인이 있었는데 이번에 대통령이 일본부터 가면서 미국 내에서 가지고 있던 우리 정부에 대한 편견이 일거에 사라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번 주말 인도를 방문할 예정이다. 그는 "외교 다변화에 있어서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