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하이얼이 2016년 제너럴일렉트릭(GE) 가전 부문을 인수해 설립한 가전업체 GE어플라이언스가 향후 5년간 30억달러(약 4조1000억원)를 투자해 중국·멕시코에 있는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한다. 미국 정부의 관세 압박을 완화하고, 공장 현대화와 일자리 창출에 나서기 위해서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AP통신에 따르면 GE어플라이언스는 13일(현지시간) 냉장고·가스레인지·온수기 생산라인을 미국 켄터키·조지아·앨라배마·테네시·사우스캐롤라이나 등 5개 주로 확장 이전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회사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로, 미국 내 일자리 1000개 이상이 새로 생길 전망이다.
지난 6월에도 GE어플라이언스는 중국 세탁기 생산라인을 4억9000만 달러를 들여 켄터키주로 옮기겠다고 발표했으며, 이 계획 역시 이번 투자안에 포함됐다.
케빈 놀런 최고경영자(CEO)는 "관세로 인해 지금 미국 내 (생산시설) 건설이 좋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10년간 미국 제조업에 우리보다 많이 투자한 가전 기업은 없다"며 "이번 계획은 미국 제조업에 대한 우리의 약속이 미래에도 계속될 것임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적 관세 폭탄과 투자 유치 압박 등으로 인해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대 계획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 WSJ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내 시설 확장에 집중하느라 일본 제2공장 착공이 연기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판매 의약품을 미국에서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후 대미 투자 계획을 잇달아 내놨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