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이찬진 금감원장 내정자 "국정과제 반영하며 감독기구 본연의 임무 다하겠다"

"열심히 듣겠다" 경청 자세 강조

이한주 국정위원회 위원장(왼쪽)과 이찬진 금감원장 내정자. 연합뉴스

이한주 국정위원회 위원장(왼쪽)과 이찬진 금감원장 내정자.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내정자는 13일 "정부의 국정과제를 반영하면서 (금감원장으로서) 감독 본연의 임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이날 오후 아시아경제와 통화에서 "정부 기조를 충실하게 따르겠다"며 "국정과제에 (공약이) 이미 반영된 부분도 있으니 이 부분에 중점을 둘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열심히 듣겠다"며 경청의 자세도 강조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날 임시 금융위 의결을 거쳐 이 내정자를 신임 금감원장으로 임명 제청했다. 금감원장은 금융위원장이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 내정자는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18기 동기이자, 노동법학회에서 함께 활동한 인연이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 2005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민간위원을 지냈고, 2010년 참여연대 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부회장 등 시민단체 경력이 두드러진다.


이 때문에 금융업계는 '깜짝' 인사라고 평가한다. 금융권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노동·복지·사회 이슈에 목소리를 냈기 때문이다. 이 내정자는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연금개혁과 보건복지, 공공의료 분야에 관심을 보였다. 국정기획위원회에서는 사회1분과장을 맡아 공공의료, 주 4.5일제, 노동 문제 등을 주로 다뤘다.

다만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으로서 자본시장 이슈에 해박하다는 평가도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이 변호사는 직접적으로 금융업계에 업무를 한 적은 없지만,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으로 오래 활동한 만큼 금융정책과 관련 있는 의사결정을 많이 했다"며 "상법 개정, 소액주주 보호, 자산운용산업 분야에서 전문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례를 고려하면 이 내정자는 내일 대통령 재가 이후 오후부터 금감원으로 출근할 전망이다. 바로 업무보고를 받고, 취임사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지난 6월5일 이복현 전 원장 퇴임 이후 두 달 넘게 수장이 없는 상태다. 이른 시일 내에 업무를 숙지하고 공약을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