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해 순차적 폐점을 진행하는 등 전사적인 긴급 생존 경영 체제에 돌입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회생절차 개시 이후 5개월이 지난 현시점에서 경영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자금 압박이 가중되고 있어 고강도 자구책을 시행하겠다는 것이다.
자구책에는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한 순차적 폐점 진행 ▲본사 임직원 대상 무급 휴직제도 시행 ▲지난 3월 회생절차 이후 시행 중인 임원 급여 일부 반납 조치 등이 담겼다. 홈플러스는 향후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성사될 때까지 자구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4일 회생절차 개시 이후 현재까지 전국 전 매장에서 정상적으로 영업을 이어가고 있다. 전 임직원의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회생 개시 이후 발생한 모든 납품 대금도 정상적으로 지급해 왔다.
하지만 회생 개시 후 5개월이 지나간 지금도 홈플러스의 자금 상황은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일부 대형 납품업체들이 정산 주기를 단축하거나 거래 한도를 축소하고, 선지급과 신규 보증금 예치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면서 현금흐름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7월 전 국민 대상 민생지원금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포함되지 않으면서 홈플러스의 매출 감소 폭은 더욱 확대됐던 것으로 파악된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 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홈플러스 측은 회생 계획 인가 전 M&A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 인가 전 M&A는 회생 계획 인가 전에 기업을 매각하는 것으로 초기 단계에서 매수자를 확보해 가치 하락 폭을 줄여낼 수 있다. 지난달 30일에는 홈플러스의 조기 정상화와 인가 전 M&A 성사를 바라는 임직원 및 협력사 직원 약 2만2000명은 대통령에게 호소문을 전달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호소하기도 했다.
홈플러스 노사협의체이자 직원 대의기구인 한마음협의회는 "회생절차가 장기화하면 할수록 기업 가치가 하락하고 회생 가능성도 작아지기 때문에 인가 전 M&A가 반드시 성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