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캐나다산 카놀라유 등 관련 제품 약 76%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히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됐다.
중국 상무부는 12일 성명에서 반덤핑 조사 결과, 캐나다산 카놀라 수입 급증으로 자국 유채 산업이 손해를 입었다며 오는 14일부터 카놀라 종자를 포함해 관련 전 제품에 75.8%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캐나다 농업 부문은 직격탄을 맞게 됐다. 카놀라는 캐나다 농가의 최대 현금 작물인 데다 캐나다가 미국과 무역 갈등을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캐나다 농가 입장에서 미국은 가공 카놀라유·사료 최대 수출국이고, 중국은 카놀라 종자 최대 수출 시장이다.
마닌더 시두 캐나다 국제통상부 장관 등은 이날 밤 공동 성명을 통해 중국의 결정에 대해 "깊이 실망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캐나다가 중국 시장에 제품을 덤핑하고 있다는 중국 주장에 반박하면서도 무역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 측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안드레 하르프 캐나다 카놀라재배자협회 회장은 이번 관세 구조로 인해 캐나다 농민은 중국 시장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중국 구매자는 구매액의 75.8%를 현금 예치금으로 납부해야 하는데, 이는 중국 당국이 자국 유채 재배 농가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만 환급된다.
하르프 회장은 "카놀라 재배자가 무역전쟁의 최전선에 있어서는 안 된다"며 "이번이 6년 만에 두 번째로 중국이 캐나다산 카놀라 수입을 차단한 사례"라고 밝혔다. 2019년 캐나다가 화웨이 부회장 멍완저우 체포에 관여한 이후, 중국은 캐나다 주요 카놀라 가공업체의 시장 접근을 거부했다. 이는 2022년 멍완저우가 중국으로 귀환한 후 해제됐다.
하르프 회장은 또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가 해결책이 될지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대신 캐나다 정부가 새로운 수출 시장 개척을 지원하거나, 바이오연료 생산에 필요한 카놀라 사용 비율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중국의 이번 농업 보복 관세는 캐나다가 지난해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것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짚었다. 캐나다는 이 조치를 통해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기조에 발을 맞췄다. 지난달에는 중국 철강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외국산 철강 수입을 대폭 축소하는 조치도 발표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