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제공자 10명 중 9명은 女…"성별격차 해소해야"

발레리 프레이 OECD 선임 경제학자 인터뷰

고령화가 가팔라지면서 장기 요양 돌봄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돌봄 제공자 10명 중 9명은 여성으로 성별격차가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돌봄 직업에 대한 성별 분업을 해소하고, 돌봄 일자리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돌봄제공자 10명 중 9명은 女…"성별격차 해소해야" 원본보기 아이콘

12일 발레리 프레이 OECD 선임 경제학자는 이날 오후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 APEC 여성경제회의 고위급 정책대화(HLPDWE)' 이후 가진 인터뷰에서 "돌봄 제공자 10명 중 9명은 여성"이라면서 "남성 유입을 늘림으로써 돌봄 제공자들의 임금을 높이는 등 일자리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에서 '성평등과 인구 고령화에 대한 돌봄 체계 강화'를 주제로 발표한 발레리 프레이는 "고령화는 2033년까지 OECD 회원국에서 장기 요양 인력 수요를 22% 증가시킬 전망"이라고 했다. 이어 "OECD 평균 장기 요양 근로자의 87%는 여성"이라면서 "이 분야에 대한 남성 인력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돌봄 수요는 높지만, 돌봄 근로자의 임금은 개선되지 않았다"며 "이는 정부 차원의 더 현명한 개입과 공공·민간 협력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또한 "장기 요양 돌봄 근로자들의 소득은 OECD 평균 소득보다 낮다"면서 "장기 요양 돌봄 제공자들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역시 소득 수준이 다른 파트타임에 비해 낮아 앞으로 이를 해결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그러면서 "돌봄 제공자들은 공감 능력, 시간 관리, 참을성 등 다양한 스킬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스킬이 제대로 평가되고 있지 않다"며 "(일자리 조건 개선을 위해) 어떤 스킬이 평가 대상이 되어야 할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레리 프레이는 고령화 사회에 꼭 필요한 여성 정책을 묻는 질문에 '여성 빈곤 문제 해결'을 꼽았다. 그는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도 노인 빈곤 문제에서 여성 빈곤 문제는 두드러졌다"면서 "나이가 들어도 여성이 노동시장에 남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함께 '무급 돌봄 제공'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봤다. 그는 "여성과 노년, 두 가지가 합쳐졌을 때 문제가 커진다"면서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여성들의) 무급 돌봄도 사회가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