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법원이 뉴델리와 수도권의 떠돌이 개를 8주 안에 전면 수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중성화된 개도 방생을 금지하는 초강경 조치로 예정대로라면 백만마리에 달하는 개들이 거리에서 사라질 전망이다.
11일(현지시간)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인도 최고법원은 뉴델리와 인근 지역의 모든 떠돌이 개를 거리에서 완전히 없애고 보호소로 이송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법원은 "광견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개 물림 피해가 심각하다"며 8주 안에 작업을 완료하라고 지시했다.
뉴델리의 떠돌이 개는 약 100만마리로 추정된다. 노이다·가지아·바드·구르가온 등 인근 도시에서도 개체 수가 급증하는 상황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인도는 전 세계 광견병 사망자의 36%를 차지한다.
법원은 뉴델리와 인근 지역 전역에 최소 5000마리의 개를 수용할 수 있는 보호소 여러 곳을 신속히 설치하라고 지시했다. 각 시설에는 중성화·백신 접종 장비와 CCTV를 갖춰야 하며 현행 규정과 달리 중성화된 개도 공공장소에 풀어서는 안 된다고 판결했다. 또한 개에게 물린 것과 광견병 신고 전용 핫 라인도 1주일 내 개설해야 한다. 이 같은 지시는 뉴델리와 기타 주요 도시에서 개에게 물린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그러나 동물보호 단체들은 법원의 지시에 반발하고 있다. 동물 권리 단체 PAWS 창립자 닐레쉬 바나게는 "대부분 도시의 수용 능력이 필요한 양의 1%에도 못 미친다"며 "진짜 해결책은 백신·중성화·쓰레기 관리 등 기존 제도의 실효성 강화"라고 지적했다.
인도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개 물림 신고 건수는 370만건에 달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도에서 매년 1만8000명~2만명이 광견병으로 인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하지만 인도 정부 집계는 지난해 54명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실제 피해가 훨씬 클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