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6일 경기도 광주 실리콘투 물류센터를 방문해 수출중소기업 관계자들과 만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기부의 주요 정책 영역과 밀접한 소상공인·중소기업·창업벤처 3가지 정책 고객군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각 10회씩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정책현장투어의 주제는 '관세 및 수출'이다.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수출 중소기업이 당면한 위기와 K소프트파워에 기반한 수출 중소기업에 주어진 새로운 기회가 공존하는 복합적인 상황 속에서, 중소기업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자 추진됐다.
이날 실리콘투 물류센터를 방문한 한 장관은 간담회에 앞서 화장품 수출 준비 현장을 살펴봤다. 실리콘투는 현재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K뷰티 국내 브랜드의 수출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기업으로, 한 장관은 현장 방문을 통해 수출 준비 과정을 포함한 K뷰티 전반에 대해 살폈다.
이어진 수출중소기업 간담회에서는 관세협상을 통해 주요국 대비 동등하거나 우월한 조건으로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음에도 품목·상호관세 부과 등 지난해와는 달라진 수출 환경 속 중소기업의 어려움 등을 청취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관세협상이 잘 마무리된 것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15% 관세에 대한 부담이 남아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수출 중소기업의 겪는 관세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실효적인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했다.
중기부는 그간 수출 중소기업의 관세 피해 최소화를 위해 수출바우처를 활용한 수출 바로 프로그램 운영,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집중하고 있으며, 가용 수단을 집중하여 중소기업이 관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앞으로도 중소기업에 필요한 관세 정보를 적기에 신속히 제공할 수 있도록 협·단체 등 가용 채널을 총동원하고, 온라인 수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 수출 초보 기업도 해외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