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복구 현장에서 현장 지원에 나선 공무원노조가 있는 반면, 또 다른 공무원노조는 생존권 투쟁을 내세우며 집회와 단체행동에 나서 엇갈린 모습이 눈길을 끈다.
서로 다른 공무원노조가 각각의 방향으로 전개하는 활동은 공직사회의 다양한 현실을 드러내는 대조적인 모습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노총 공무원노동조합연맹(공무원연맹) 소속 임원과 조합원 50여 명은 5일 경남 산청군 단성면 석대마을을 찾아 수해 복구 작업에 참여했다. 공무원연맹은 피해 지역 주민들과 협의해 마을 내 주택가와 골목 일대의 토사 제거 및 오염물 정비에 힘을 보탰다.
이 지역은 지난 7월 중순부터 5일간 평균 632mm에 이르는 집중호우로 지반 붕괴, 하천 범람, 농경지 침수 등의 피해를 입은 곳. 산청군 집계에 따르면 인명 피해 13명, 재산 피해 건수 2000건 이상, 피해액은 4456억원에 달한다.
김현진 공무원연맹 위원장은 “공직사회 역시 재난 상황에서 국민과 고통을 함께하고, 복구 현장에 적극 동참하는 것은 당연한 책무”라며 “우리 연맹은 조합원 권익 보호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 이행에도 무게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공무원연맹 측은 앞으로도 재난 현장과 지역사회 복구 사업에 대응해 현장 중심 노동운동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반면, 6일 오후 2시 대통령실이 자리한 서울 한강대로 삼각지파출소 앞에서는 공무원·교원 노조들이 대규모 집회를 벌인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교원노조, 경찰직장협의회 등 6개 노조가 연합해 구성한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 주최로 열리는 이날 집회의 주된 요구는 공무원 임금과 수당 인상이다.
이들은 현재 공무원 임금이 민간업계 대비 75.6%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면서 저연차와 하위직에 해당하는 공직자들의 저임금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집회에서 공무원보수위원회의 결정사항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이행을 촉구하고, 물가 상승과 임금 정체가 겹치며 생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전할 예정이다.
집회 마지막에는 ‘끝없는 악성민원’, ‘높은 물가 낮은 임금’, ‘무한 희생 강요’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찢는 상징의식을 진행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