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 활성화를 목적으로 배포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시행 첫 주부터 실질적인 소비 진작 효과를 내며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전국 소상공인의 카드 매출이 전주 대비 2% 이상 증가한 가운데 패션·의류, 외식 등 생활 밀착 업종을 중심으로 두 자릿수 급증세가 나타나며 경기 회복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된 한 주(7월21~27일) 동안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38만2207곳의 카드 매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전주 대비 2.2% 늘었다.
안경원 업종 매출이 전주 대비 56.8% 치솟으며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패션·의류업 매출도 28.4% 늘었으며 면 요리 전문점(25.5%), 외국어학원(24.2%), 피자(23.7%), 초밥·롤 전문점(22.4%), 미용업(21.2%), 스포츠·레저용품(19.9%) 등도 매출액 증가 폭이 컸다.
유통업 매출은 12% 늘었으나 서비스업 매출은 3% 감소했다. KCD 관계자는 "폭염과 7월 말 휴가 기간이 겹치면서 서비스업 매출이 반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단 서비스업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로는 5.1% 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남(9.4%), 전북(7.5%), 강원(6.6%), 충남(5.8%), 울산(5.8%), 대구(5.7%) 등에서 전주 대비 매출 증가 폭이 컸던 반면 서울(-4.0%)과 제주(-0.8%)는 매출이 감소했다.
강예원 KCD 데이터 총괄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시행 직후부터 소상공인 매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유통, 외식, 미용 분야 등 생활 밀착 업종에서 뚜렷한 매출의 변화가 나타난 만큼 정책이 더 많은 골목상권 회복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소비쿠폰은 시행 열흘 만에 국민의 약 90%인 4555만명이 신청을 마쳤고 누적 지급액은 8조2371억원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소비쿠폰이 단순한 현금성 지원을 넘어 지역 균형 발전과 내수 회복을 함께 도모하는 구조적 정책 설계라는 점에 주목하며 향후 이 같은 효과가 지속적으로 확산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