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남지사 "호우 피해조사에 현장 목소리 정확히 담아야"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지난달 집중호우 관련 피해조사 상황을 점검하러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을 찾았다.


박 도지사는 토요일인 2일 오전 합동조사단이 머무는 진주시 문산실내체육관을 방문해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왼쪽)가 진주시 문산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집중호우 피해 관련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을 찾아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박완수 경남도지사(왼쪽)가 진주시 문산실내체육관에 마련된 집중호우 피해 관련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을 찾아 관계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박 지사는 행정안전부 이상원 합동조사단 경남조사반장에게 "피해조사는 피해 주민 등 현장 목소리를 정확하게 반영해 보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특별재난지역 지정이 어려운 경우에도 읍·면 단위로도 지정될 수 있도록 세밀한 현장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 지사는 "재난 상황이 반복되고 심해지는 것에 따라 과거의 행정 틀을 바꿔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도 국민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이라고 강조한 만큼 건설, 도로, 하천 등 분야에서 안전 중심으로 행정을 전환하고, 행정수요에 따라 행정 조직이 시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 차원에서 전체적 기준을 마련해 시·군 행정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겠다"고 말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오른쪽)가 집중호우 피해 관련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 관계자를 격려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박완수 경남도지사(오른쪽)가 집중호우 피해 관련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 관계자를 격려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 경남조사반은 70명 이상으로 구성돼 지난 7월 27일부터 8월 2일까지 진주, 의령, 하동, 산청, 함양, 거창, 합천, 밀양, 창녕 등 도내 9개 시·군에 대한 피해조사를 진행했다.


국가시설은 전수 조사를, 지방시설은 추정 피해액이 3000만원 이상이면서 복구비가 5000만원 이상인 시설을 중심으로 정밀 조사를 벌였다.


사유 시설 피해에 대해서는 각 시·군이 직접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부처가 표본조사를 통해 정확성을 확인했다.


이상원 경남조사반장은 "사유재산 피해조사가 오늘까지 진행된다"며 "정확한 피해조사를 위해 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전문 인력 보강이 꼭 필요하다"고 전했다.


경남도는 중앙재난피해 합동조사단과 긴밀히 협력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속한 복구 및 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