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렵 막으려 이렇게까지…'코뿔소'에 '이것' 주입한다

남아공, 뿔에 방사성 물질 주입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코뿔소를 밀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BBC방송은 1일(현지시간) 남아공 위트와테르스란트대학 연구팀이 이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보도했다. 방식은 코뿔소의 뿔에 저준위 방사성 물질을 주입해 코뿔소에게는 무해하면서도 전 세계로 운반되는 밀수된 뿔을 탐지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했다. AFP 연합뉴스

전문가들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했다. AFP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고, 국경에서 적발될 확률도 높아진다.


연구팀은 지난 6년간 연구와 실험을 통해 이 방식을 고안했다. 또 코뿔소 20마리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 방사성 물질이 이들에게 완전히 안전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아울러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협력을 통해 방사성 물질을 주입하면 6m 크기의 선적 컨테이너 내부에서도 뿔을 찾아낼 수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했다. AFP 연합뉴스

전문가들이 코뿔소의 뿔에 방사성 물질을 주입했다. AFP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프리카 대륙 코뿔소의 80% 가까이가 서식하는 남아공에서는 전통 의학에서 코뿔소 뿔을 약재로 사용하는 아시아 지역의 수요 탓에 코뿔소 밀렵이 성행하고 있다. 코뿔소 뿔은 국제 거래가 금지됐지만 약재나 장식품으로 활용되는 베트남과 중국 등의 암시장에서 금이나 코카인보다 비싸게 밀매된다.


동물보호단체 '세이브 더 라이노'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이후 매년 남아공에서 코뿔소 400마리 이상이 밀렵당했다.


남아공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뿔소 개체 수를 보유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흰코뿔소와 함께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위급종'으로 지정한 검은코뿔소도 포함된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