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지도 서비스의 대중교통 길찾기에 계단회피 경로 안내 기능을 추가했다고 1일 밝혔다.
계단회피 기능은 계단 이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중교통 길찾기 시 계단회피 옵션을 선택하면 계단 대신 엘리베이터가 있는 지하철역 출입구가 포함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지하철역 내부에서도 엘리베이터와 가까운 탑승 위치를 기준으로 빠른 하차와 환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는 계단, 엘리베이터 등 시설물 정보를 지속 보강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가철도공단과 '역 편의 정보 제공 협약'을 체결하고 ▲교통약자 이동 및 환승 경로 ▲출입구-승강장 간 이동 동선 ▲역사별 인접 승강기 위치 등 편의시설 데이터를 확충했다.
네이버는 이번 대중교통 계단회피 기능이 실제 이용자들의 이동 편의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약자 등 교통약자는 물론, 자전거를 소지하거나 캐리어를 끄는 이용자들도 계단을 회피한 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계단회피 기능은 다국어(영·중·일)로도 지원돼 대중교통을 이용해 관광하는 외국인들도 활용할 수 있다.
이수미 네이버 지도 서비스 리더는 "이번 대중교통 계단회피 기능은 지난해 4월 도입된 도보 계단회피 기능에 이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뿐 아니라 유모차를 끌거나 무거운 짐을 든 이용자 등 다양한 이동 상황을 고려해 기획된 기능"이라며 "앞으로도 네이버 지도는 일상 속 모든 이동 수요를 보다 세심하게 지원하는 생활밀착형 플랫폼으로서 데이터의 최신성과 정확도를 높이며 누구나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