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사상 첫 매출 1위를 차지했다.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매출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31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2분기 D램과 낸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21조8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매출은 21조2000억원이었다.
이달 초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잠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올해 2분기 양 사가 매출 기준 공동 1위에 오른 것으로 발표했다. 이후 각 기업이 2분기 확정 실적을 공개하면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메모리 부문에서 추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BM 기술력이 견인차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분기 3조4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던 SK하이닉스는 이후 생산 효율 개선과 기술 중심 전략을 강화해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HBM 부진의 여파로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냈다. 삼성전자의 HBM 점유율은 지난해 2분기 41%에서 올해 2분기 17%로 급락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뒤처진 점유율을 만회하기 위해서는 HBM3E 판로 다각화와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 통과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최근 삼성 파운드리가 테슬라 수주에 성공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삼성의 전반적인 실적 개선을 기대해볼 만하다"고 분석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