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무 "韓 대미 투자 3500억달러 수익 90%는 미국 몫"

"車관세 15%…반도체·의약품 불리하지 않게"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한국이 상호관세 인하를 조건으로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3500억달러(약 487조5500억원)에서 발생한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기로 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러트닉 장관은 한미 무역 협상 타결 발표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서 "한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국이 투자할 수 있도록 3500억달러를 제공하기로 했으며, 그 수익의 90%는 미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로이터연합뉴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는 미국이 앞서 일본과 무역 합의에서 적용한 비율과 동일하다.

러트닉 장관은 "오늘 우리는 또 하나의 역사적인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며 "한국은 향후 3년 반 동안 미국에서 1000억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및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이재명 대통령이 몇 주 내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할 때 한국 기업들이 대규모 대미 투자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적용받을 관세율에 대해선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율은 15%로 설정되며, 반도체와 의약품 분야에서도 다른 어떤 국가보다 불리하게 대우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협정을 체결한 유럽연합(EU), 일본 등과 비슷한 조건이다. 이번 협상이 타결되지 않았을 경우 한국은 8월 1일부터 25% 관세율이 적용될 예정이었다. 자동차 관세는 지난 4월 3일부터 25%였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철강·알루미늄·구리는 이번 합의에 포함되지 않으며 기존 조건이 유지된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이번 무역 합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및 무역 정책이 세계 상업 질서를 재편할 수 있다는 분명한 인식을 반영한다"며 "미국 국민에게 약속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자랑스럽다. 무역과 관세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만드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